환경산업기술원, 글로벌 지속가능소비생산 선도
2017-11-29 13:53
아시아 지역에 공공녹색구매제도 확산 지원 사업 시행
10YFP 이사국, 지속가능공공구매(SPP) 주관기관 역할
10YFP 이사국, 지속가능공공구매(SPP) 주관기관 역할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글로벌 지속가능소비생산(SCP)을 확산시키고, 아시아지역 국가에 친환경 정책을 전파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지난 6~17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2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참가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6일(현지시간) 한국 홍보관에서 ‘공공녹색구매를 통한 기후변화 해법 모색’이라는 주제로 국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아시아 지역에 녹색 공공구매 제도 전파
UNOSD 윤종수 원장은 “지속가능소비생산은 더 적은 자원을 사용하고, 오염물질은 덜 배출하는 동시에 더 많은 사회적 편익을 창출하는 것”이라며 “기후변화 저감을 위해서는 지속가능소비생산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내년 7월 UN본부에서 개최되는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고위급 정치포럼(HLPF)에서 지속가능소비생산 분야의 각국 진척상황에 대한 점검이 이뤄진다.
이클레이 손봉희 팀장은 UN 지속가능소비생산 10개년 계획(10YFP) 지속가능공공구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올해 4월 공동 발족한 ‘한·중 지자체 공공녹색구매 이행지원 및 편익측정 실무그룹’ 사업에 대해 소개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관계자는 “한국의 공공녹색구매제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수범사례로 소개된 바 있다”며 “최근 아시아·태평양 개도국으로부터 한국의 제도 운영 경험 공유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정책운영 경험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며, 기후변화 저감 및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신규 친환경제품 시장창출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올해부터 UNEP와 함께 한국 공공녹색구매 제도 운영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전파 및 확산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UN 지속가능소비생산 10YFP 지속가능공공구매 프로그램 주관기관으로, 이클레이와 올해 4월 공동 발족한 ‘한·중 지자체 공공녹색구매 이행지원 및 편익측정 실무그룹’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10YFP 지속가능공공구매 프로그램은 국가 국내총생산(GDP)의 약 12%(OECD 회원국 기준)에서 30%(개도국 기준)를 차지하는 전 세계 정부 조달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 2014년 4월 발족된 프로그램이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이클레이를 통해 지난 5월 수원시를 한국 참여 지자체로 선발했으며, 내년 9월까지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환경산업기술원, 유엔 10YFP 프로그램 공동주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14년 유엔환경계획, 이클레이와 함께 ‘10YFP 지속가능 공공구매(SPP)’ 프로그램의 공동주관 기관으로도 선정됐다.
공공구매는 공공기관이 물품·공사·용역 등을 구매하는 행위다. 공공구매는 GDP 12~30%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공공영역이 친환경제품을 구매하면 친환경제품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제품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SPP 프로그램 공동주관 기관으로 전세계 지속가능공공구매를 선도하고 있다.
각국 정부·국제기구·NGO 등 120개 기관이 프로그램 회원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속가능공공구매 지식을 확산하고, 정책이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 중이다.
지속가능공공구매 관련 지식을 전파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올해 6월 프로그램 사무국에서 전 세계 41개국 서베이를 통해 ‘지속가능공공구매 글로벌 리뷰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내 환경마크 인증제품 1만개 돌파···SCP 확산 가속화
지속가능소비생산(SCP)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생산 및 소비를 의미한다.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 걸쳐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오염물질 배출을 감소시켜 생산과 소비양식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바꾸는 활동이다.
우리나라는 환경마크, 공공기관 녹색구매제도 등 유관 분야에서 10년 이상 풍부한 정책 운영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그린카드, 녹색매장 지정제도 등 다각적인 정책을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2년 환경마크 인증제도를 도입하며 지속가능소비생산 정책을 추진해 왔다. 환경마크는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오염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친환경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다. 10월 말 현재 총 3588개 회사 1만4944개 제품이 환경마크 인증을 받았다.
공공녹색구매제도는 2005년 녹색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지면서 전국 3만여개 공공기관의 녹색구매를 의무화하도록 한 제도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공공녹색구매실적은 2조8400억원에 이른다.
녹색매장지정제도는 2011년 도입됐다. 친환경제품을 취급하면서 환경관리가 우수한 유통매장을 지정하는 제도다. 11월 기준 385개 지점이 녹색매장으로 지정됐다.
2011년 도입된 그린카드 제도는 친환경제품을 구매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친환경생활을 실천하면 경제적 혜택을 부여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총 1508만좌가 발급됐다.
남광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국내·외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공공녹색구매 성과측정 방법론을 도출, 한국 사례에 적용할 예정”이라며 “연구결과를 유엔환경총회 등 국제회의에서 발표, 지속가능개발 달성을 위한 전략적 정책도구로 삼으며 국내·외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공공녹색구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