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EU 내수회복 맞춘 수출전략 필요”
2017-10-11 15:07
내년까지 유럽연합(EU)의 내수회복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를 기회로 활용할 전략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최근 EU 경제의 특징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최근 EU 경제는 성장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지난해 4분기(2%)부터 올해 1분기 2.1%, 2분기 2.4%로 3분기 연속 2%대 성장을 기록했다.
향후 경기방향을 나타내는 경기체감지수(ESI)는 지난해 8월(103.7) 저점 이후 상승전환했다.
특히 보고서는 내수부문이 경기회복을 주도하는 흐름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2분기 민간최종소비 성장기여도는 1.2%포인트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유지하고 있다.
실업률‧고용률 등 노동시장 지표 개선 추세가 지속되고, 고용자의 임금수준도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고용자 임금상승률의 경우, 올해 2분기 2.5%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 최종소비지출 증가율도 1분기 1.2%로 마이너스 증가율 수준에서 벗어났다. 가처분소득 역시 0.9% 늘었다.
경제 위험요인으로 지목돼 온 재정건선성도 개선되고 있다.
재정건전화 노력으로 2011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 비율은 –4.6%에서 올해 1분기 –1%로 개선됐다. GDP 대비 정부부채 수준도 2015년 이후 개선돼 올해 1분기 84.1%를 기록했다.
다만 보고서는 남유럽 지역의 높은 정부부채 수준은 구조적 리스크 요인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1분기 GDP 대비 정부부채 상위 3개국인 그리스‧이탈리아‧포르투갈 부채수준은 여전히 EU 평균을 웃돈다. 이들의 은행 부실자산도 경기회복 제약요인으로 상존한다.
또 향후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와 시기조정 계획 여부나 미국의 금리인상 등의 불확실성, 브렉시트 협상 등의 리스크가 남아있다.
보고서는 “재정건전성의 개선과 가계소득 및 소비 증가세는 내수 부문 중심의 성장을 가능케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 수립과 부정적 리스크 요인들의 국내 파급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최근 EU 경제의 특징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최근 EU 경제는 성장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지난해 4분기(2%)부터 올해 1분기 2.1%, 2분기 2.4%로 3분기 연속 2%대 성장을 기록했다.
향후 경기방향을 나타내는 경기체감지수(ESI)는 지난해 8월(103.7) 저점 이후 상승전환했다.
특히 보고서는 내수부문이 경기회복을 주도하는 흐름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2분기 민간최종소비 성장기여도는 1.2%포인트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유지하고 있다.
실업률‧고용률 등 노동시장 지표 개선 추세가 지속되고, 고용자의 임금수준도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고용자 임금상승률의 경우, 올해 2분기 2.5%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 최종소비지출 증가율도 1분기 1.2%로 마이너스 증가율 수준에서 벗어났다. 가처분소득 역시 0.9% 늘었다.
경제 위험요인으로 지목돼 온 재정건선성도 개선되고 있다.
재정건전화 노력으로 2011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 비율은 –4.6%에서 올해 1분기 –1%로 개선됐다. GDP 대비 정부부채 수준도 2015년 이후 개선돼 올해 1분기 84.1%를 기록했다.
다만 보고서는 남유럽 지역의 높은 정부부채 수준은 구조적 리스크 요인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1분기 GDP 대비 정부부채 상위 3개국인 그리스‧이탈리아‧포르투갈 부채수준은 여전히 EU 평균을 웃돈다. 이들의 은행 부실자산도 경기회복 제약요인으로 상존한다.
또 향후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와 시기조정 계획 여부나 미국의 금리인상 등의 불확실성, 브렉시트 협상 등의 리스크가 남아있다.
보고서는 “재정건전성의 개선과 가계소득 및 소비 증가세는 내수 부문 중심의 성장을 가능케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 수립과 부정적 리스크 요인들의 국내 파급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