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67] 누가 겨울에 러시아를 제압했나? ①
2017-10-12 10:56
[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사진 = 몽골군, 러시아정벌도 (몽골 국립 박물관 소장)]
더욱이 러시아 역사는 가급적 그 의미를 축소하거나 아예 무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많은 러시아의 역사학자들, 특히 민족사관을 가진 학자들은 몽골의 지배를 받았던 240년의 세월을 외면하거나 축소하려는 것은 물론 몽골의 지배가 러시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들은 그 것을 그저 힘센 야만인에게 어쩔 수 없이 당했던 ‘멍에’ 같은 수준에 묶어 두려했다.
그래서 러시아 역사는 몽골에게 지배받던 이시기를 타타르 이고, 즉 타타르 멍에라고 부르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몽골에 영향을 미쳤던 20세기 70년 동안 러시아인들은 과거 자신들에게 멍에를 안겨준 원초적인 인물 칭기스칸을 폄하(貶下)하는 작업을 꾸준히 계속해왔다. 그러나 오랜 세월에 걸친 몽골의 러시아지배가 과연 어께에 멘 가벼운 짐 정도인 멍에 수준일까? 그 것은 아닌 것 같다. 몽골의 러시아 정벌과 지배 과정을 살펴보면서 한번 생각해 보도록 하자.
▶전방위(全方位) 정복전쟁 착수
[사진 = 오고타이, 전(全)방위 정복전쟁]
▶러시아와 동유럽으로 몰아친 광풍
[사진 = 바투에게 정벌된 수즈달(러시아 연대기 세밀도)]
▶13년 뒤 재개된 루시와의 격돌
칭기스칸 통치 당시 제베와 수베타이가 이끌었던 몽골군과 루시 즉 러시아의 첫 격돌이 있었다. 러시아 지역에 대한 몽골의 본격적인 정벌은 그 13년 뒤인 1,236년에 시작됐다. 칭기스칸의 호레즘 원정에 동참했다가 귀환하지 않고 카자흐 초원 동반부에 눌러 앉았던 큰아들 주치는 이 지역에 나름대로 자신의 영역을 구축했다.
[사진 = 바투 추정도]
[사진 = 바투 초상화]
[사진 = 몽골군, 서방 정벌도]
▶킵차크 초원 볼가르 쉽게 제압
첫 해 원정의 목표는 킵차크 대초원지대를 평정하는 일이었다. 1,236년 서방 원정군은 우랄강을 건너 킵차크 대초원에 발을 들여놓았다. 킵차크란 카스피해와 흑해 그리고 카프카즈 일대에서부터 서쪽으로는 도나우강에 이르는 광대한 서북 유라시아의 대초원지대를 말한다. 이 지역에는 예로부터 투르크계의 유목민들이 크고 작은 집단을 이룬 채 갈라져 살고 있었다. 몽골군의 첫 희생자는 볼가 강변에 사는 볼가르인들이었다.
[사진 = 몽골 기마병(삽화)]
▶학설 분분한 루시의 기원
첫 번째 목표를 이룬 몽골군은 말머리를 동쪽으로 돌렸다. 당시까지 루시로 불리어지던 러시아는 힘이 한곳으로 모아져 있지 않고 여러 개의 공국(公國) 나뉘어져 분열과 반목을 계속하고 있었다. 루시는 핀란드어로 ‘노를 젓는 사람들’ 이라는 뜻으로 9세기 북유럽 해양민족인 노르만인들이 건너와 루시를 세웠다는 주장을 비롯해 그 기원과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과 주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러시아의 학자들은 6세기를 전후해 루시족이 키예프를 중심으로 성장을 구가해 왔다는 점에서 노르만인들이 오기 훨씬 전부터 루시라는 고대 러시아 국가가 있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어원은 키예프에 있는 로시 또는 루시라고 불리는 강의 이름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여러 개의 공국으로 분열된 루시
[사진 = 몽골군 서정(西征)도 (집사)]
이들과 힘들고 어려운 싸움을 계속하는 동안 키예프의 루시의 힘은 더욱 약해지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여러 공국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내분과 분열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몰아닥친 몽골군의 이 지역 공격은 결정적인 타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