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도 위작 증거 숟가락·홍채·인중·입술·스케치 선"..故 천경자 화백 차녀 김정희 교수 '천경자 코드' 출간

2017-07-20 14:26
20일 출간기념 간담회 열고 위작 입증할 근거 제시

고 천경자 화백의 차녀인 김정희 美몽고메리대 미술과 교수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천경자 코드' 출간기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코드는 은밀한 내용을 암시하는 기호이자 비밀을 푸는 열쇠인데, '미인도'에는 천경자 화백의 다른 작품에 있는 코드가 없으므로 이는 명백한 위작이다." 

고(故) 천경자 화백의 차녀인 김정희 미국 몽고메리대 교수는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천경자 코드'(맥스미디어) 출간기념 간담회에서 "'미인도'는 숟가락을 비롯해 홍채, 인중, 입술, 스케치 선 등 5가지 코드를 통해 위작임이 확인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미술사학자인 클리프 키에포 미국 조지타운대 석좌교수, 자신의 남편인 문범강 조지타운대 교수와 함께 '미인도'가 위작임을 입증하는 근거를 책에 정리했다. 이들은 1977년작으로 알려진 '미인도'와 천 화백이 같은 해 그린 '나비와 여인의 초상', '수녀 테레사',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별에서 온 여인', '멀리서 온 여인' 등 5가지 작품을 비교했다. 

김 교수는 "천 화백은 여인상의 특정 부위를 숟가락으로 비비고 문지른 뚜렷한 흔적을 남겼지만, '미인도'에는 숟가락으로 문지른 흔적이 단 한 군데도 없다"고 말했다. 또 그는 "천 화백의 다른 그림에는 작은 홍채 속에 긁고 파 들어가듯 표현한 흔적이 있지만, '미인도'는 홍채 안이 텅 비어 있다"며 "'미인도'에만 인중이 뚜렷하게 나타난 점도 이상하다"고 덧붙였다.

'미인도' 속 여인의 입술에 대해서도 "마치 수채화 물감으로 칠한 듯 얇고 많은 얼룩으로 채워져 있지만, 천 화백이 그린 입술에서는 두꺼운 켜를 이루는 물감의 층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조사 대상 그림들을 단층 사진으로 촬영하면 '미인도'에서만 날카로운 스케치 선이 확인된다"며 "'미인도'를 그린 사람이 볼펜 같은 필기구로 눌러 본을 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책을 출간하면서 천 화백 유족 측과 국립현대미술관 사이의 '미인도' 진위 논란이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전문기관의 과학감정, 전문가 안목 감정, 미술계 자문 등을 종합한 결과 ''미인도'의 제작기법이 천 화백의 양식과 일치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유족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현재 '미인도'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개최 중인 소장품 특별전 '균열'에 아무런 설명 없이 전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