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절대평가 되면 선택과목 유불리 심각”
2017-07-03 09:57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선교 의원(자유한국당)은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2017학년도 수능 원점수로 절대평가 시뮬레이션을 시행해본 결과 사회탐구영역에서는 약 11%p, 과학탐구영역에서는 약 13%p, 직업탐구영역에서는 20%p, 제2외국어/한문영역에서는 약 28%p의 편차가 나타나는 등 선택과목에 따라 1등급 비율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한 의원실은 이 같은 결과는 수능 절대평가가 시행된다면, 어떤 과목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1등급을 받는 비율의 차이가 큰 만큼 일부 과목으로의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이는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불균형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수능 1등급 비율이 4%에 맞춰져 있는 반면, 절대평가로 적용해본 결과 2017학년도 수능 원점수의 1등급 비율이 과목에 따라서는 2.25%에서 34.02%까지 나타나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2017학년도 수능 점수를 기준으로 절대평가 적용의 모의 시뮬레이션 결과, 과목별로 1등급 현황은 22.93%에서 34.02%로 10%p 이상의 편차를 보였다.
2016학년도의 수능 점수를 기준으로는 최저 19.89%에서 최고 41.57%까지 1등급 비율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 영역에서도 1등급 비율의 과목별 차이는 10%p 이상이었고 2016학년도의 점수 기준으로 보면 약 6배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2017학년도 5과목에서 10과목으로 늘어난 직업탐구 영역에서는 1등급의 비율이 6.22%를 보이는 과목부터 26.13%를 보이는 과목까지, 선택 과목에 따라 1등급의 비율이 4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가장 큰 격차를 보이는 영역은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2017학년도 기준으로 과목에 따라 1등급 비율이 2.25%에서 30.36%까지 격차가 있었다.
수능 절대평가를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현재 줄세우기식의 비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정상화하고, 입시경쟁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필요하며, 학생 간 지나친 경쟁 완화와 학교교육 정상화 측면을 강조하지만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변별력을 저하시켜 다른 형태의 사교육을 탄생시키고 내신경쟁이 더 치열해져 교육 불평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 의원실은 교육부가 ‘절대평가 실시는 변별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내 놓았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한 의원실은 대학 입시제도가 학교의 정규 수업 과정을 제대로 이수하였는지를 반영해, 대학에서의 수학에 필요한 수준을 갖췄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지금과 같은 상태로 절대평가가 시행된다면, 과목별 편중 현상이 심화돼 제대로 된 수학능력의 평가는 어려울 것이며 수업의 불균형, 공부를 위한 과목선택이 아니라 점수를 잘 받기 위한 과목선택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한 의원은 “선택 과목별로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나면 어느 과목을 선택할 것이냐 눈치 싸움이 치열해질 것이고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적절한 평가방식이라 할 수 없다”며 “최근 수능 출제 결과를 봐도 과목별로 고른 난이도로 출제가 드물어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에 앞서 학생들 불이익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