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일 맞은 문재인 대통령, 인상적 행보 살펴보니…‘적폐청산·개혁’ 1위

2017-05-18 10:54
[리얼미터] ‘적폐청산·개혁’ 30.4%로 1위…서울, 60대 이상, 한국당 지지층선 ‘외교·안보적 리더십’ 1위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오후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당선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가장 인상적인 행보는 ‘적폐청산·개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 소장파 법학자인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과 ‘돈 봉투’ 파문에 휩싸인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과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에 대한 감찰 지시 등이 국민적 지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적폐청산·개혁 > 외교·안보적 리더십 > 민생·경제 회복 의지 순

18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CBS ‘김현정의 뉴스쇼’ 의뢰로 지난 17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504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의 인상적 행보를 조사한 결과, ‘적폐청산·개혁’(검찰개혁 등)’이 30.4%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외교·안보적 리더십(정상 통화 등)’ 22.4% △‘사회 통합적 결정(세월호 기간제 순직 인정 등)’ 14.4% △‘민생·경제 회복 의지(일자리위원회 등)’ 11.1% △‘파격 소통 행보(꼬마 사인, 커피 산책 등)’ 9.8% 순으로 조사됐다. ‘기타’는 2.7%, ‘없음’과 ‘잘 모름’은 각각 4.9% 4.3%였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1위 적폐청산·개혁 37.6%,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2.4%) △광주·전라(1위 적폐청산·개혁 35.0%, 2위 사회 통합적 결정 19.7%) △부산·경남·울산(1위 적폐청산·개혁 30.1%, 2위 사회 통합적 결정 16.4%) △대구·경북(1위 적폐청산·개혁 20.5%,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18.5%)에서는 ‘적폐청산·개혁’을 가장 인상적인 행보로 꼽았다.

대전·충청·세종(1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32.8%, 2위 적폐청산·개혁 26.6%)과 서울(1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8.0%, 2위 적폐청산·개혁 25.1%)에서는 ‘외교·안보적 리더십’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60대 제외한 전 세대 ‘적폐청산·개혁’ 1위
 

[사진=리얼미터 제공 ]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적폐청산·개혁’이 가장 높았다.

‘적폐청산·개혁’이 높은 세대는 △40대(1위 적폐청산·개혁 36.4%,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2.8%) △20대(1위 적폐청산·개혁 35.1%,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17.8%) △30대(1위 적폐청산·개혁 30.4%,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2.8%) △50대(1위 적폐청산·개혁 26.9%,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2.7%) 순이었다.

60대에서는 ‘외교·안보적 리더십’(24.8%)과 ‘적폐청산·개혁’(24.5%)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1위 적폐청산·개혁 40.4%,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3.5%)과 무당층(1위 적폐청산·개혁 24.9%, 2위 민생·경제 회복 의지 19.0%)에서는 ‘적폐청산·개혁’이 1위로 집계됐다.

국민의당 지지층(1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9.5%, 2위 적폐·청산개혁 20.8%)과 자유한국당 지지층(1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7.7%, 2위 없음 23.9%)에서는 외교·안보적 리더십이 가장 높았다. 정의당 지지층(1위 사회 통합적 결정 38.1%, 2위 적폐청산·개혁 19.6%)에서는 사회 통합적 결정, 바른정당 지지층(1위 파격 소통 행보 24.9%,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2.3%)에서는 파격 소통 행보를 가장 인상적으로 봤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1위 적폐청산·개혁 36.5%,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6.3%)과 중도층(1위 적폐청산·개혁 33.2%, 2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18.8%)에서는 적폐청산·개혁이 가장 높았다. 반면, 보수층(1위 외교·안보적 리더십 28.5%, 2위 적폐청산·개혁 20.0%)에서는 외교·안보적 리더십이 가장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무선(18%) 전화면접 및 무선(62%)·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전화걸기(RDD)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이며, 응답률은 7.1%다. 통계보정은 2017년 1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