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국무총리 이낙연·비서실장 임종석 지명…“대탕평·통합 신호탄”

2017-05-10 20:52

9일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세종로소공원에서 지지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에 호남 출신의 이낙연 전남도지사(65)를 지명했다. 국가정보원장(장관급) 후보자에는 서훈 전 국정원 3차장(63)을 임명했다.

또한 대통령 비서실장(장관급)에는 임종석 전 의원(51), 대통령 경호실장(장관급)에는 주영훈 전 경호실 안전본부장(61)을 각각 지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30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후보자의 인선과 관련해 “통합과 화합 적임자”라며 “호남 인재 발탁을 통한 탕평의 신호탄”이라고 자평했다.

문 대통령의 첫 내각 인선 특징은 ‘비영남’이다. 이 총리 후보자는 호남, 서 국정원장 후보자는 서울, 임 실장은 호남, 주 실장은 충남 출신이다. 지역적 안배를 한 셈이다.

4선(제16∼19대) 국회의원 출신의 이 총리 후보자는 전남 영광 출신으로 비문(비문재인) 성향으로 꼽힌다. 지난 2012년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전신) 대선 경선 당시 손학규 캠프에 몸담았던 인사다.

광주 제일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거쳐 동아일보 기자 등을 지낸 뒤 고(故)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발탁으로 정계에 발을 들여놓았다. 이 지사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후보자 딱지를 뗄 경우 지사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청와대 측은 이 후보자 발탁 배경에 대해 “해외특파원 3년을 포함한 언론인 21년, 국회의원 14년, 도지사 3년을 일하면서 많은 식견과 경험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안보·외교 위기 타개가 가장 시급하다”며 “책임과 소신 있게 일하겠다. 야당을 모시고 성의 있게 대화를 하다 보면 통합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에 호남 출신의 이낙연 전남도지사(65)를 지명했다. 국가정보원장(장관급) 후보자에는 서훈 전 국정원 3차장(63)을 임명했다. 사진은 대선 기간 서울 송파구의 선거 현수막.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베테랑 대북 전문가인 서 후보자는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 교육학과·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석사·동국대 정치학 박사를 지낸 뒤 노무현 정부 때 국정원 3차장과 국가안보회의(NSC) 정보관리실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서 후보자는 2000년 6·15 정상회담과 2007년 10·4 정상회담 개최 등을 막후에서 조정,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았다. 문 대통령은 “국정원 국내 정치 관여 근절을 구현할 최적임자”라며 인선 이유를 밝혔다. 서 후보자는 “북핵 해결 조건 성숙 시 평양에 갈 수 있다”며 남북정상회담 당위성을 피력했다.

임 실장은 문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삼고초려한 대표적 인사다. 전남 장흥 출신의 국회의원 재선을 지낸 임 실장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출신으로 86(80년대 학번·60년대 생)그룹의 대표 격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정무부시장을 지낸 ‘박원순 사람’으로 분류된다. 문 대통령은 “군림하지 않는 청와대의 변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경호실 공채 출신인 주 실장은 한국외국어대 아랍어과와 연세대 행정대학원을 거친 뒤 노무현 정부 당시 대통령 경호실 안전본부장을 맡았다.

대선 과정에서는 ‘광화문대통령공약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청와대 측은 “대통령의 ‘열린 경호’ 등 경호실 개혁을 주도할 적임자”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새벽 당선 직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나라 대한민국에 대해 말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