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北 핵실험·ICBM 발사시 감내 못할 조치 신속히 취해질 것"

2017-05-01 16:07
"美대북정책, 제재·압박 방점…대화할 때 아냐"

아주경제 주진 기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일 최근 공개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대북정책의 방점은 "제재와 압박"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출입기자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지난달 28일 유엔 안보리 북핵 특별회의 발언 등에 담긴 미국 정부 대북정책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그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틸러슨 장관이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과의 대화에 열린 입장을 피력한 데 대해 "과거와 같은 대화가 아니라는 것은 여러 계기에 이야기했다"며 대화를 하려면 "제대로 된 진정성있는 '비핵화 대화'를 한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기본 생각"이라고 소개했다.

윤 장관은 "과거 20여년간 많은 노력을 했고 합의도 있는데 틸러슨은 그것이 '실패'였다고 했다"며 "이번에 하려는 것(북핵 해법)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미봉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밝힌 뒤 미국 정부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윤 장관은 "미국 고위 당국자들 말을 보면 트럼프 행정부 1기 4년 동안에 (북핵 문제에서) 가능한 한 진전을 보겠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전한 뒤 "궁극적으로 압박을 통해서 어떤 (북핵 문제의) 마무리를 해야 할 상황이 언젠가는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아직은 북한과 대화할 때가 아니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한미간에는 그런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북한 대 국제사회의 구도(국제사회가 하나 되어 북한을 압박하는 형국)가 차질없이 이행돼 다행히 4월에 우려했던 북한의 전략적 도발(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은 아직 없지만 계속 (북한의 도발을) 억제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다면 이미 한미일, 한미간에, 또 안보리 이사국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감내할 수 없는 강력한 조치들을 상당히 신속하게 취하는 상황이 될 것 같다"며 북한의 6차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시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가 조기에 채택될 수 있는 분위기임을 시사했다.

윤 장관은 북한이 6차 핵실험에 나설 경우 중국이 대북 원유 공급을 중단할지에 대해 "중국 정부에서 그 표현(원유 공급 중단)은 쓰지 않았지만 중국과의 접촉 때 중국도 상당히 강한 추가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인상을 받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