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 人터뷰②] “중국 의존도 탈피…동남아 등 관광산업 다변화 필요”

2017-04-21 16:00

원희룡 제주지사 인터뷰[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차이나 김봉철 기자 = 원희룡 제주지사는 19일 시내 한 호텔에서 진행된 아주차이나와의 인터뷰에서 관광산업의 다변화를 위한 로드맵에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원 지사는 “중국 단체관광객(유커·遊客)이나 개별여행객(싼커·散客)이 자국의 현지 분위기의 영향을 받아 언제든 빠져나갈 수 있다고 보고 동남아 일본, 중동, 이슬람권으로 다변화를 꿰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변화 정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 관건은 비자와 항공편이다. 원 지사는 “비자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와 얘기를 해서 환승 무비자를 시행 중”이라며 “타도시를 거쳐서 제주를 오는 단체관광객에게 120시간 환승 무비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와 한국의 다른 지방을 패키지로 엮어 여행의 매력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제주를 목적지로 할 경우 (타 지역까지) 묶어 패키지를 구성했을 때 훨씬 더 시장 기반이 넓다”면서 “이는 제주도 만 아니라 한국 전체 관광의 매우 큰 제도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원 지사는 항공편 문제도 “한국 사람들은 2~3시간 비행이면 멀다고 생각하지만 동남아인들은 6시간 이내 비행은 국내 관광으로 여기기는 수준”이라며 “대형항공사, 저비용항공사들이 항공편을 확대할 경우, 수요가 분명히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직항편이 적다는 점은 약점이다. 그는 “직항편이 없으면 여행 스케줄이 불편해지고 여행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직항편과 환승 등 연계 교통들을 보완하는 것이 경쟁력 강화에 있어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원 지사는 “직항편 확대와 비자에 대한 편의만 제공되면, 제주에 대한 여행객 수요는 앞으로 무한정으로 있을 것”이라면서 “중국처럼 연간 300만명씩 오진 않더라도 베트남의 5만명이 10만명, 말레이시아 4만명이 10만명으로 늘어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본다”고 내다봤다.

특히 원 지사는 관광산업 발전에 있어서 질적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어떻게든 관광객 숫자를 늘리는 방안과 체질 강화를 통해 고급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중에 둘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고급관광객을 늘리는 것을 선택하겠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관광산업의 질적인 지표는 목적 관광과 고소득자를 끌어들이는 것”이라며 “친절함과 언어적 소통을 기본으로 문화, 레저, 스포츠를 다 즐길 수 있는 여행상품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그동안 앉아서 손쉽게 중국의 단체관광객을 받고 박리다매 비슷하게 혹은 리베이트를 주고 관광객을 받았지만, 앞으로는 목적관광을 통해 많은 소비를 끌어들일 수 있는 응대 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원 지사는 역점적으로 추진했던 크루즈 산업 육성과 관련해서는 한 발 물러섰다.

중국의 연간 관광객 300만명 중 크루즈 관광객이 110만명이 넘을 정도로 국내 크루즈 관광업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절대적이다.

원 지사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국내 배치 문제로 크루즈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자, 일단 관련 사업에 대한 속도조절에 나섰다.

그는 “오는 7월 개항을 앞둔 강정 크루즈항은 원래 임시 가건물 터미널을 수십억을 들여서 만들려고 하다가, 중국발 크루즈들이 취소되면서 중국발이 아닌 몇 개의 부분은 제주항으로 넘기고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크루즈 산업은 어차피 중국에서 오는 선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기시키는 게 순리에 맞다고 봤다”면서 “일단 연기 시켜 놓고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오는 6월 제주에서 열리는 제2차 AIIB(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연차총회 준비와 관련해서는 “중국, 자신들이 주도하는 국제금융기구를 쉽게 취소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한·중 양국 간의 외교 마찰이 있다고 해서 전 세계 70여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다자 관계를 깬다는 건 국제 관례상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차질 없이 진행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원 지사는 “오히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참석을 유도해 사드 갈등 국면에서 본격적인 화해 무드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