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규제에도 개발업체 실적 늘었지만....자금조달 어려워져

2017-04-13 15:08
구매제한령 등에도 올 1분기 부동산 상장사 실적 가파른 상승곡선
투자열기 여전하지만 부동산개발업체 자금조달 난이도 높아져
자금압박에 따른 과도한 투자, 개발, 토지매입 등 억제될 것

[사진=중국신문사]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지난해 가을부터 중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구매제한령이 실시되고 규제 강도도 높아졌지만 중국 부동산 시장의 열기는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개발업체에 대한 자금압박이 커지면서 변화의 조짐도 서서히 일고 있다.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는 12일 지난 10일까지 실적을 공개한 부동산 상장사 1분기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다며 이렇게 분석했다. 

지난 10일 실적을 발표한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碧桂園)의 경우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무려 251.4% 급증한 1506억6000만 위안(약 24조7354억원)으로 업계 1위에 올랐다. 완커(萬科)와 헝다그룹도 각각 1502억7000만 위안, 1069억3000만 위안으로 그 뒤를 따랐다. 

올 1분기 실적을 공개한 22곳의 부동산 상장사의 총 매출도 7700억 위안을 넘어서며 전년 동기대비 60%에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최근의 부동산 규제는 달아오른 투자 열기를 식히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자금조달 난이도를 높이면서 개발업체가 토지매입과 투자, 개발 등에 신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서서히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시장정보업체 윈드(Wind) 통계에 따르면 중국 A주 70곳 부동산 상장사의 지난해 말 기준 총 보유현금은 4580억7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2.36%가 늘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총 보유현금은 4457억5700만 위안으로 이는 4분기 3증가분이 123억2000만 위안으로 지난해 총 증가분의 9%에 그쳤다는 의미다. 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부채비율도 줄었다. 지난해 70개 부동산 상장사 총자산은 3조2000억 위안, 총부채는 2조4100억 위안으로 자산대비 부채 비율은 75.34%였다. 지난해 3분기까지 부채율은 76.25%로 구매제한령 실시 후 개발업체 부채 비율이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장다웨이(張大偉) 중위안 부동산 수석연구원은 "자금조달 루트 축소가 개발업체의 자금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고 최근 해외자금 조달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부동산 규제 역량이 계속 강화되고 있어 이러한 압박은 계속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