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민족자본으로 세운 인천공립보통학교…인천 3.1독립만세운동 발상지
2017-04-05 10:09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천공립보통학교는 창영초등학교의 옛날 이름이다.
이 학교는 일본인 교사 1명과 한국인 부교사 1명을 교원으로 임명하고, 1907년 5월 6일 개교했다.
창영초등학교축성식(1907)[사진=인천시]
원래는 인천객주조합에서 설립한 용동의 제녕학교를 인수해 개교하려 했지만 여의치 않아 인천일어학교 교실 1칸을 빌려 3명의 학생을 모집해 개교했다. 교장은 인천부윤이 겸했다.
그 해 6월 제녕학교 학생 74명을 받아들이고, 계속 학생이 늘어나자 12월 20일에 우각현(현 창영동)에 목조 건물 1동을 세워 이전했다.
이 학교는 4년제 과정이었으나, 나이 많고 학력이 높은 학생이 2학년으로 입학하여 특별히 3개년 수업과정을 마친 것이다.
1913년 12월 1일에 인명학교까지 인수하며 건물을 뜯어다가 기존 건물에 이어 붙여 교사를 확장했다.
창영초등학교 구교사[사진=인천시]
1946년 7월 1일 남자 143명, 여자 123명 총 266명의 졸업생을 광복 후 첫(통산 36회) 배출하며 초등교육을 담당했으나, 6·25전쟁으로 1950년 6월 27일 임시 휴교했다가 수복이 되면서 경기도경찰국이 사용하던 교사를 다시 찾아 학교를 열게 되었다.
1953년에는 학생 수가 총 3천 52명에 달했다.
순수 민족 자본으로 세워진 인천공립보통학교 주변에는 최초의 서구식 초등교육기관인 영화학교와 고서점 거리가 자리하여 이 일대는 인천지역 교육의 중심지로 손색이 없다.
뿐만 아니라 인천 3·1 독립만세운동의 진원지로 알려져 있다. 현재 창영초등학교 내에는 1995년 3월 6일에 총동창회에서 세운 ‘인천지역 발상지’기념비가 있다. 구 교사는 인천시 유형문화재 16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