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장칼럼]증시 상장과 안전불감증

2017-04-04 13:38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세월호 인양 작업이 한창이다. 모든 국민들을 비통하게 했던 세월호가 육지로 올라오면, 물 속에 함께 잠겨 있었던 여러 진실들도 하나 둘씩 실체를 드러냈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
 
3년 전 발생한 세월호 사건은 안전이 최우선이고, 원칙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새삼 되새기게 했다. 세월호 사건만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났던 크고 작은 모든 사건·사고들은 결국 원칙을 지키지 않아 발생했다. 한번 더 꼼꼼히 따져보면서 안전 수칙을 지켰다면 적어도 최악의 참사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안전불감증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종종 원칙을 지키지 않아 안전도 와르르 무너진다. 단순히 편리함을 위해서 원칙에 벗어나 예외를 두기도 한다.

또 가끔은 불편한 진실이 숨겨진 경우도 있다. 물론 융통성이 필요할 때도 있다. 하지만 안전을 무시한 불필요한 융통성이 자칫 큰 화를 부른다.

주식시장으로 눈을 돌려봤다. 그곳에도 안전불감증이 만연해 있는 것은 아닐까. 정답은 '예스'다. 우선 문제가 많은 기업에 무턱대고 투자하려는 개미들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투자자들의 잘못만 논해선 안 된다.

당연히 좋은 상품을 선별해 사는 것은 소비자의 몫이다. 그러나 좋은 상품을 내놔야 하는 공급자의 책임도 따져야 한다. 내용물은 부실한데 겉만 번지르르하게 과대 포장을 해서 시장에 내놓는 것은 분명 잘못된 행동이다.

최근 이와 같은 논란이 주식시장에서 불거졌다. 지난해 1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분식회계와 상장특혜 의혹에 휘말리면서 특별감리를 받게 된 것이다.

회사의 이름값만 봐도 분명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기에 충분한 곳이다. 하지만 정의당 심상정 의원과 참여연대는 이 회사가 증시에 입성하는 과정에 부적절한, 보이지 않는 손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 후 계속 적자를 냈지만, 상장 1년 전인 2015년 1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기업가치를 취득가액에서 공정시가액으로 변경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런 과정에서 분식회계를 저지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또 상장규정을 변경한 것 역시 특혜일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성장 유망기업 요건을 도입해 적자기업도 미래 성장성이 있으면 상장할 수 있도록 심사규정을 바꿨고, 이 부분이 문제가 된 것이다. 결국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이 회사에 대해 특별감리 결정을 내렸다.

조사 결과 이와 같은 의혹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다면, 회사 입장에선 상당히 억울할 것이다. 그러나 더 완벽한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소개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라 생각해야 한다.

만에 하나, 제품에 하자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면 꼼꼼히 점검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다. 그리고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져 모든 불확실성을 털어버린다면, 기업의 가치는 더욱 치솟고 투자자들의 선호도도 역시 높아질 것이다.

금융당국과 거래소 역시 눈에 보이는 양적인 성장에 너무 집착해선 안 된다. 체력이 약한 10개 기업을 증시에 입성시키는 것보다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줄 수 있는 1개의 튼실한 기업을 상장시키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한국판 테슬라를 만들겠다는 의욕이 가끔 불안하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개발과 발전을 위해 규제를 다소 느슨하게 할 필요도 있겠지만, 그만큼 사고의 위험도 분명 커진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규제 완화를 외치는 선심성 정책들이 난무할수도 있다. 그러나 분명 규제 완화가 능사는 아니다.  우리 주식시장에 안전불감증이 만연해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