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까지 우주기술 자립"…올해 우주개발 6703억원 투입
2017-02-22 16:04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을 확정했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미국, 러시아 등 우주개발 선진국을 뒤쫓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이번 중장기 계획은 독자개발이 필요한 중점기술을 선정하고, 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배태민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술단위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해 지난 1년간 산학연 전문가들과 2030년까지의 임무달성에 필요한 기술 754개를 도출하고, 이 중에서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고려해 상위 30% 내외의 200대 중점기술을 선정했다"며 "앞으로 미래부 등 관계부처가 사업을 진행하고 예산을 확보할 때 로드맵이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판단한 200개의 중점기술 중 발사체엔진이 55개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위성탑재체 52개, 발사체본체 45개, 우주관측탐사 25개, 위성본체 23개 순이었다.
이에 정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2200억원을,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등 달 탐사 추진에 710억원, 인공위성 독자개발에는 2184억원 등을 투입해 총 6703억원 규모의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지난해 7278억원에 비해 575억원 감소한 규모로,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의 시연발사 일정이 10개월 미뤄진 것이 사업비 조정의 가장 큰 이유라는 게 미래부 측 설명이다.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을 수립해 우주물체의 추락·충돌 등 우주위험으로부터의 대응 매뉴얼도 마련했다. 국민안전처의 총괄 하에 미래부의 대응 매뉴얼에 따라 자연우주물체에 대한 위험을 피하겠다는 것이다.
위성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오는 6월 페루와 공동위성운영 등을 추진하며, 우주개발사업의 산업체 참여확대와 우주제품 수출 지원 등 우주개발 산업화 전략도 시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은 "우주기술 개발 로드맵 수립은 주요 우주 선진국에 비해서는 늦었지만, 우주 분야 핵심 기술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에도 우주개발에 대한 장기적 비전 및 도전정신과 함께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