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주택가격 오름세 크게 꺾였다…전세도 안정세

2017-01-01 13:49
지난해 전국 주택가격 0.71% 올라…전세도 1.32% 상승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지난해 전국 주택시장이 매매와 전세 모두 안정세로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 대비 0.71% 상승했다. 이는 2014년 1.71%, 2015년 3.51%와 비교해 오름폭이 크게 둔화한 것이다.

지난해 청약시장이 과열되고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서울 재건축 아파트 등 일부 지역에서 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였으나,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과 금리 인상, 대출규제 강화 등에 따라 매매가격은 11월 이후 하락 전환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년 대비 1.32%, 지방이 0.17% 각각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제주도가 4.63%로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이어 부산(3.18%)과 서울(2.14%), 강원(1.33%) 등의 순이었다.

반면, 신규 주택 입주가 크게 늘어난 대구(-1.84%)와 경북(-1.66%), 충남(-1.51%) 등의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전세시장은 수도권 신도시를 비롯해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안정세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2015년(4.85%)보다 크게 낮은 1.32% 상승하는데 그쳤다.

세종시가 4.0%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부산(2.90%)과 인천(2.25%), 경기(2.06%) 등 순으로 전셋값이 뛰었다.

2015년 전셋난으로 7.25%나 치솟았던 서울 전셋값은 지난해 1.95%로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한편, 지난해 월세는 보증금 비중이 높은 준전세가 0.67% 상승한 반면, 보증금 비중이 작은 월세와 준월세는 각각 0.66%, 0.36%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