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현장중심 재난안전관리체계 첨단기술결합에 집중해야"

2016-12-29 11:12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연구원 염유경 연구위원은 29일 ‘한반도 지진 대응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주제의 보고서를 통해, 현장중심의 재난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첨단기술결합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반도 지진 패턴변화에 대응 방안으로 △개인 생존능력 향상을 위한 지진대응체계 선진화 △문화재 내진보강과 건축 품질향상 위한 관리감독 강화 △첨단기술과 결합한 재난안전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지진은 예측이 힘든 자연현상으로 발생 직후의 대응과 지진 골든타임인 72시간 이내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1995년 4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고베 지진의 경우 생존자 90% 이상이 스스로 생존하거나 주변의 도움으로 구조됐으며, 구조대에 의한 구출은 1.7%에 불과했다.

염 연구위원은 국민 개개인의 대응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사전 체화훈련과 지진 발생 시 신속·정확한 정보제공이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특히 지진 발생이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는 리플릿과 동영상과 같은 시청각 교육보다는 지진안전체험관, 가상현실(VR)과 같은 체화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국내 재난관련기관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은 다양하고 사용주파수대역도 달라 비상 시 기관간의 직접 무선통신이 어려워,지진발생 시 즉각적이고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디바이스 사용이 가능한 재난관리정보통신체계를 구축돼야 한다고 했다.

지진피해 사례는 소규모 건축물과 건조물 문화재 비구조재가 대다수로, 문화재 내진보강과 건축품질향상을 위해 지진 취약건물과 비구조재 등 내진기준을 정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재난현장의 개선점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지진대응과 방재에 적용하고, 현장 중심의 구조구난활동과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첨단기술을 결합한 재난안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재난안전통신망 구축과 최적화 및 진화 △현장구조요원의 보호장구 및 구조장비의 첨단화 △스마트 셀 기반 빅데이터를 이용한 재난지역 활동인구 규모·위치의 정확한 파악 등을 제시했다.

염 연구위원은 “국내 재난안전관리체계는 여전히 대형재난 후 조직개편에 치중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며 “재난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는 물론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고, 지휘명령계통의 책임영역은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와 소방 해경 경찰 군 의료 가스 전기 등의 8대 재난안전 분야의 선진화된 협업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