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협회 "AI 방역대책은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

2016-12-22 14:28
AI 대책, 계란 수입 대신 병아리 수입해야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피해가 사상 최악으로 치닫는 가운데 정부의 방역 대책에 반발하고 나섰다. 

대한양계협회는 22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2003년부터 올해까지 13년간 AI가 재앙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나 학계, 전문기관 등의 명확한 로드맵이 없다"며 "정부가 계란 수입을 검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말도 안되는 정책"이라고 밝혔다. 

양계협회에 따르면 올해 발생한 H5N6형 바이러스로 산란계 농장은 큰 피해를 입었다. 21일 현재 2100만 수가 넘는 가금류가 처분됐다. 이는 전체 사육수의 3분의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특히 국내 계란 공급량은 평상시 대비 약 30%이상 감소했고, 사육중인 산란종계의 약 40%가 처분됨에 따라 '계란 대란'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현재까지 처분된 닭 수수로 추측할 경우 향후 1년 이상 국내 계란 공급에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사태가 지속되면 국내 계란산업의 기반이 붕괴될 위기에 처해 있다.

AI 피해가 커지자 정부는 수급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계란수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양계협회는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극히 제한된 국가에서 비행기로 들여올 경우 운송료 때문에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이라며 "수입시기도 명확하지 않을 뿐더러 수입에 필요한 각 행정절차를 거칠 경우 상당기간이 소요된다"고 꼬집었다.

더군다나 수입 시기를 잘못 정하면 오히려 계란수급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양계협회의 입장이다. 

양계협회는 "대안으로 우선 현재 이동제한으로 묶여 있는 국내 계란의 유통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당연히 철저한 소독과 방역절차는 거쳐야 한다"며 "청정지역 농장의 생산연장 등의 조치만으로도 발등의 불은 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장기적으로는 산란실용계 및 종계 병아리 수입을 위한 정부차원의 각종 지원이 올바른 조치"라며 "계란수입을 위해 지원코자 하는 운송료를 병아리 수입에 지원하고, 수입절차 간소화와 청정지역 확보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국의 산란계 사육농가는 지금 이 시간에도 고병원성 AI 차단을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며 "이번 AI로 인해 피해를 본 농가들에게도 피해보상금 및 생활안정자금이 빠른 시일 내에 지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