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금융회원사 대거 탈퇴 추진 '와해' 조짐
2016-10-11 07:47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전경련(전국경제인연합회)이 절름발이 단체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미르재단과 K스포츠 여파로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원사들의 대거 탈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이미 탈퇴를 기정사실화한 후 시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에서는 금융사뿐만 아니라 공기업들도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전경련 와해설'이 확산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등 52개 전경련 금융회원사 대부분은 탈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이 재단법인 미르와 K스포츠 설립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의혹과 함께 어버이연합에 뒷돈을 제공했다는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부터다.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경제단체에 회원으로 참여할 이유가 없다는 판단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채이배 의원 측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전경련 연회비는 지난해 2365만원이었으며 수출입은행 2100만원, KDB산업은행 1156만원 등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역시 매년 각각 204만원, 144만원의 기부금을 내고 있다.
그러나 전경련이 편법으로 어버이연합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난 5월부터 KDB산업은행은 회원 자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회비는 납부하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공기업 못지않게 공공성이 강조되는 금융사들도 탈퇴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IBK기업은행의 경우 중소기업 지원이 주목적임을 감안하면 대기업 집단인 전경련에 회원사로 있을 이유가 없다는 지적이다.
KDB산업은행 역시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역할을 고려하면 공공성과 객관성을 바탕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전경련과의 관계가 적절치 않다는 주장이다.
국정감사에서도 금융사의 전경련 회원 자격 유지에 대한 지적이 많이 나왔다.
지난 4일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을 대상으로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당 박선숙 의원은 "1960년대 이후 은행을 재벌과 한 곳에 담았던 구조라면 부적절한 것"이라며 은행들은 전경련을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경련에는 국책은행을 비롯해 KB국민·우리·신한·KEB하나 등 대형 시중은행 등 총 52개 금융사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은행권 관계자는 "대기업과의 관계 유지 등 영업 마케팅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전경련 탈퇴를 결정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전경련이 해체되지 않는 이상 은행들이 앞서서 행동하기에는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