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23일 10만 조합원 참여하는 총파업 열것"

2016-09-05 16:51

공공·금융부문 노동조합은 5일 서울에 위치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월말 전면적인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사진=윤주혜 아주경제 기자 ]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금융노조가 오는 9월 23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공공·금융부문 노동조합은 5일 서울에 위치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월말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총파업은 9월 22일 공공노련의 파업집회를 시작으로 9월 23일 금융노조의 1차 총파업, 공공운수노조(9월27일), 보건의료노조(9월28일), 공공연맹(9월29일)의 총파업이 이어질 예정이다.

특히 금융노조는 노동 운동 사상 최대 규모인 조합원 10만 명이 참여하는 총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금융노조는 지난주 임시 전국대의원대회를 열고 ‘전 조합원 90% 이상, 휴직자 제외한 조합원 전체 총파업’을 진행하기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금융공기업 등 금융노조 지부들은 조합원의 파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전국 분회를 방문하고 있다. 현재 10만 조합원의 비상통신망을 구축하고 45인승 버스 1500대를 임대하는 등 파업 준비에도 본격 돌입했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현재 농협은 전체 조합원 1만5000명 중 1만4200명이 참여하기로 했고 기업은행 지부는 9500명 가운데 휴직자를 제외한 8500명 전원이 참여키로 했다”며 “신한은행, 씨티은행, 하나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거의 모든 지부가 전 조합원의 참여를 결의하고 총력 활동에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노조는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총파업이 성사된다면 정부와 사측이 어떤 형태로든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의 공공 금융기관 성과연봉제·퇴출제와 관련한 각종 지침 전면 폐지도 요구했다. 또 성과제 도입을 찬성한 이사회 결정을 무효화하고 노정 교섭을 실시할 것도 요구했다.

금융노조는 금융공기업 사측이 노사합의 없이 성과연봉제 도입을 이사회에서 의결했으며, 그 과정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회유와 인사상 불이익 등 협박을 병행하면서 개별 동의서 서명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부산은행 등 14개 시중·지방은행을 포함해 금융결제원 등 사용자협의회 소속 총 22개사가 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기로 하면서 노사간 갈등은 더욱 심화된 양상이다.

한편, 사측은 올해 연말 금융노조와 내년 초에는 한국노총의 선거가 예정돼 있는 만큼 산별교섭보다는 사업장별 개별 교섭을 통해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는 게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 금융노조가 성과연봉제 도입 등 사측의 요구안에 대한 철회만을 주장하며 논의자체를 거부하고 있다는 게 사측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