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없는 정부정책…중국에도 서비스 경쟁력 밀려

2016-08-17 15:01
中, 인터넷플러스 전략으로 O2O 분야 급성장
韓, 지원위주 정책 한계 직면…발상 전환 절실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정부가 내놓은 경제정책이 시장에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총체적인 난국에 빠졌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혁신적인 정책이 전무해 중국에도 경쟁력과 주도권을 내출 처지에 놓였다.

정부 정책부재로 인해 밀려오는 4차 산업혁명에도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중국의 거센 추격에 서비스업까지 내주면 글로벌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최근 중국은 빠르게 서비스업으로 선회하고 있다. 이른바 ‘세계공장’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가속도가 붙은 모양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신경제 체제의 생태계 조성도 끝마쳤다.

중국이 내세운 ‘인터넷플러스’ 정책은 인터넷 플랫폼을 중심으로 금융, 제조, 농업, 에너지, 의료, 문화 등을 연결해 스마트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이 전략은 중국의 경제판도를 바꾸는 중요한 변환점이라는 평가다. 실제 중국은 이 전략을 통해 O2O(Online to Offline) 시장에서 괄목할 성과를 얻고 있다.

중국의 O2O 비즈니스 시장규모는 지난해 3352억 위안(한화 약 55조5000억원)으로, 서비스업 분야에서 압도적인 매출을 기록 중이다. 특히 O2O 비즈니스 모델은 배달서비스, 교통서비스 뿐 아니라 인공지능, 빅데이터, 핀테크, 3D프린터 등 생활과 관련한 거의 모든 영역으로 사업 분야가 확대되는 분위기다.

반면 우리 정부의 서비스업 정책은 답보상태다. 7대 유망서비스업 육성도 생태계 조성은 더딘 모습이다. O2O 시장은 업계에서 수년 전부터 준비하고 있지만, 정책적 기반은 걸음마 수준이다.

지난달 초 제시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역시 ‘지원과 육성’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제조업을 과감히 버리고 서비스업을 육성하겠다는 정부 의지와 달리, 시장은 오히려 중국에도 밀리며 고전하는 것이다.

서비스업의 새로운 흐름인 O2O 시장만 봐도 정부의 혁신정책이 결여됐다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에서조차 O2O 시장은 언급되지 않았다.

우리나라 O2O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15조원에 이른다. 중국은 국내 시장보다 4배에 달한다. 중국시장 공략이 필요한 시기라는 의미다.

전문가들도 서비스업 육성에 적극적인 중국의 신경제 시스템을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 정책이 과감히 바뀌어야 가능하다는 지적도 쏟아냈다.

이봉걸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중국 경제가 우려보다 안정으로 흐르는 것은 서비스산업 성장을 중심으로 한 신경제의 역할이 크다”며 “중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잡기위한 장기적 포석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어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회와 위협이 공존할 수 있다”며 “에너지, 금융 등 모든 산업분야를 융합해 새로운 가치, 새로운 산업을 만드는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