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림의 머니테크] 투자자산 비중 늘려야 하는 이유
2016-08-07 06:00
LG경제연구원 보고서를 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보다 현금, 예금, 보험을 비롯한 안전자산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민대차대조표에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동산 같은 비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말 70.5%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를 보이다 2015년 말에는 63.1%까지 하락했다. 반면 금융자산 비중은 같은 기간 29.5%에서 36.9%로 꾸준히 상승했다. 다만 가구주가 30대 후반으로 젊은 층인 경우 전세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집을 사는 바람에 실물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비금융자산 비율이 크게 낮아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둔화했기 때문이다. 특히 가계 금융자산은 주식, 채권 같은 투자자산보다 현금, 예금, 보험, 연금을 비롯한 안전자산 중심으로 많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금융자산에서 안전자산 비중은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65.2%로 저점을 기록한 뒤 2015년 74.2%까지 올랐다. 보험 및 연금은 같은 기간 22.7%에서 31.1%로 대폭 상승했고, 현금과 예금은 42.5%에서 43.1%로 증가했다. 반면 금융자산에서 투자자산 비중은 34.1%에서 25.0%까지 낮아졌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주가 약세 영향으로 위험자산을 회피하는 심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자산 가운데 보험과 연금이 많이 늘어난 것은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한다.
통계청이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해 연령대별 자산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가구주가 35∼39세인 경우 금융자산 비중은 2012년 34.9%에서 2015년 34.0%로 소폭 감소했다. 이는 2012년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이 크게 올라 가구주가 전세에 대한 경제적 부담으로 주택 구매에 나서면서 실물자산 비중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30대 후반 가구주에서 자가 주택 비중은 2012년 3월 45.6%에서 2015년 3월 50.2%로 뛰었다. 특히 가구주 나이가 35∼44세인 경우 '순금융자산이 마이너스이면서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이 40%를 넘는 가구'인 한계가구가 2015년까지 1년 만에 3만 가구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돼 세심한 점검이 필요하다.
과거만큼 상승여력이 크지 않은 부동산 비중이 줄고, 유동성이 큰 금융자산으로 자산 비중이 이동한 것은 바람직해 보인다. 그러나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현금, 예금, 보험 같은 안전자산 위주로만 자산을 운용하면 재산을 불려나가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저축과 투자가 필수적인 30대에 주택구입으로 인한 유동성 악화와 부채증가는 노후 준비를 어렵게 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된다. 유동성이 떨어지는 주택구입보다는 저금리기조가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해 월세 전환을 통해 대출을 줄이고, 저축과 투자여력을 늘려 자산을 불려나가는 선진국형 자산운영전략이 필요하다. 아울러 수익성이 떨어지는 안전자산보다는 투자자산 비중을 늘려 재산을 키워나가는 것이 현명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