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상위 0.41% 부자가 가계 전체 금융자산의 15.3% 보유"

2016-07-06 12:17

[자료=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개인은 우리나라 국민 전체의 0.41%에 불과하지만 가계 전체 금융 자산의 15.3%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자산가의 수도 전년 보다 약 16% 늘어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 한국 부자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자산가는 지난해 말 현재 총 21만1000명으로 전년 말 18만2000명 대비 15.9% 증가했다. 증가율 역시 2014년 8.7%에 비해 폭이 커졌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낮은 예금 금리로 인한 단기 대기성 자금 증가와 수익형 금융상품 투자 증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주가 하락에 의한 저가매수 주식자금 유입, 내수경기 회복, 시중 유동성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산가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약 476조원으로 2014년 406조원보다 17.3% 증가했다. 1인당 평균 금융자산은 22억6000만원으로 추정됐다. 전체 국민의 상위 0.41%가 가계 총 금융자산의 15.3%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자산가는 2011년 이후 매년 평균 10%가량 증가하고 있다. 2011년 자산가 수는 14만2000명으로 전체 국민의 0.28%에 그쳤으나 지난해 21만1000명으로 늘었다.

이들의 금융자산이 가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연평균 약 10%씩 증가하고 있다. 2011년에는 13.8%(318조원)에 그쳤다.

자산가들은 주로 서울과 경기,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이 9만4000명(44.7%)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가 4만3000명(20.3%), 부산이 1만5000명(7.0%)로 나타났다.

서울 내에서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약 3만4000명이 거주해 서울 자산가 중 36.7%를 차지했으며 양천구와 동작구가 각각 4900명, 4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인구 대비 자산가 비율은 서울이 0.94%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이 0.42%, 대구가 0.40%, 경기 0.34%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자들의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소가 시장조사기관에 의뢰해 지난 3월부터 2개월간 전국 자산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자산 중 51.4%가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금융자산이 43.6%로 뒤를 이었으며 예술품이나 회원권 등 기타자산이 5.0%로 집계됐다.

부동산 자산 중 절반가량인 45.8%가 거주용 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이었으며 빌딩 및 상가는 23.2%를 차지했다. 투자용 부동산과 토지는 각각 20.1%, 10.9%로 조사됐다. 투자용 부동산의 연평균 수익률은 8.5%로 지난해 5.9%보다 상승했다.

금융자산 중에서는 현금 및 예·적금이 41.7%로 가장 많았으며 투자·저축성 보험이 18.5%를 차지했다. 주식과 펀드는 각각 17.2%, 11.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