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코트라 합동 ‘2016 대한민국 소비재 수출대전’ 개최
2016-06-29 08:46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코트라(KOTRA)는 2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2016 대한민국 소비재 수출대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행사는 현 정부 핵심 개혁과제 중 하나인 ‘FTA 전략적 활용 등을 통한 해외진출 확산’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특히 상반기 중 각종 수출지원사업을 통해 발굴된 해외 바이어를 초청, 수출 계약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상반기 결산 성격이다.
세계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Amazon), 중국 최대 온라인몰 티몰(T-mall), 일본 대표 전자상거래업체 라쿠텐(Rakuten), 동남아시아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자다(LAZADA), 독일의 대표적 오프라인 유통그룹 레베(REWE) 등 48개국 500여개사의 굵직한 유통망 관계자들이 방한했다.
이번 소비재 수출대전은 △유망 소비재 전시회 △1:1 비즈니스 상담회 △글로벌 유통 포럼 △한류 활용 제품홍보 방안 설명회 등이 결합된 대규모 비즈니스 행사로 진행된다.
전시회에는 4개 테마관을 구성해 국내 소비재기업 300개사의 우수 상품을 전시하고, 전시관별로 체성분측정·마스크팩 착용 등 다양한 체험행사를 마련됐다.
또한 바이어 전용부스 상담관을 구성하여 전문바이어 500여개사와 국내 소비재기업 1600여개사와 이틀간 상담회를 진행한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 방한한 267개사의 바이어들은 중국의 두 자녀 정책 시행과 맞물려 한국의 프리미엄 유아용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전시·상담회와 함께 세계적 유통기업 바이어들이 직접 글로벌 소비재 유통시장 동향과 유통망별 입점전략을 설명하는 ‘글로벌 유통 포럼’과 한류콘텐츠 간접광고 활용에 대한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한류콘텐츠 활용 설명회’도 같이 열린다.
한편, 산업부는 개막식 직후, 주형환 장관 주재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수출지원 사업수행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소비재 및 유통기업 등과 간담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주 장관은 “올 들어 기존 주력품목의 수출 회복은 더딘 반면, 5대 유망 소비재 수출은 7.9% 증가했다”면서 “한국 소비재 제품을 한류문화와 융합시키고 차별화된 품질과 기술력을 확보해 K-프리미엄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행사는 현 정부 핵심 개혁과제 중 하나인 ‘FTA 전략적 활용 등을 통한 해외진출 확산’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특히 상반기 중 각종 수출지원사업을 통해 발굴된 해외 바이어를 초청, 수출 계약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상반기 결산 성격이다.
세계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Amazon), 중국 최대 온라인몰 티몰(T-mall), 일본 대표 전자상거래업체 라쿠텐(Rakuten), 동남아시아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자다(LAZADA), 독일의 대표적 오프라인 유통그룹 레베(REWE) 등 48개국 500여개사의 굵직한 유통망 관계자들이 방한했다.
이번 소비재 수출대전은 △유망 소비재 전시회 △1:1 비즈니스 상담회 △글로벌 유통 포럼 △한류 활용 제품홍보 방안 설명회 등이 결합된 대규모 비즈니스 행사로 진행된다.
전시회에는 4개 테마관을 구성해 국내 소비재기업 300개사의 우수 상품을 전시하고, 전시관별로 체성분측정·마스크팩 착용 등 다양한 체험행사를 마련됐다.
또한 바이어 전용부스 상담관을 구성하여 전문바이어 500여개사와 국내 소비재기업 1600여개사와 이틀간 상담회를 진행한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 방한한 267개사의 바이어들은 중국의 두 자녀 정책 시행과 맞물려 한국의 프리미엄 유아용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전시·상담회와 함께 세계적 유통기업 바이어들이 직접 글로벌 소비재 유통시장 동향과 유통망별 입점전략을 설명하는 ‘글로벌 유통 포럼’과 한류콘텐츠 간접광고 활용에 대한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한류콘텐츠 활용 설명회’도 같이 열린다.
한편, 산업부는 개막식 직후, 주형환 장관 주재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수출지원 사업수행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소비재 및 유통기업 등과 간담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주 장관은 “올 들어 기존 주력품목의 수출 회복은 더딘 반면, 5대 유망 소비재 수출은 7.9% 증가했다”면서 “한국 소비재 제품을 한류문화와 융합시키고 차별화된 품질과 기술력을 확보해 K-프리미엄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