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업노조 “누구 위한 건설의날? 건설안전 문제부터 해결해야”

2016-06-17 14:15
'건설의 날' 기념식 앞두고 기자회견 열어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누가 건설인이고, 누구를 위한 기념행사입니까?”

17일 오후 2시 30분. 건설기업노조가 서울 강남구 소재 건설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건설회관에서 개최하는 ‘2016 건설의날 기념식’을 불과 30분 앞둔 시간이었다.

건설의 날은 200만 건설인의 화합과 결의를 다지고 건설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81년 제정된 이후 매년 정부 차원의 기념식으로 개최돼왔다.

이날 기념식에는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해 강호인 국토부 장관과 건설관련 단체장, 건설기업 임직원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건설노조의 목소리에 관심을 갖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건설노조는 먼저 이달 초 남양주 지하철 공사현장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로 포스코건설 하청노동자 4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당했던 일을 되짚었다.

건설노조의 한 관계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해 사업주는 가스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를 미리 감지하기 위해 검지 및 경보장치를 설치해야 하나, 이 같은 시설이 해당 현장에는 없었다”며 “잔류가스에 의한 폭발이 사실이라면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원청인 포스코건설이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밀어넣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건설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것은 현재 낙찰제도에 따른 안전공사비 절감을 위한 중층적 불법 다단계 하도급 구조 때문”이라면서 “저가 수주를 하더라도 안전관리비가 감소하지 않도록 입찰 및 낙찰제도가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설노조는 공사 현장에서 산업안전관리보건관리비를 미집행하는 경우가 다반사임을 지적하며, 안전관리비의 투명한 집행도 요구했다.

또 안전규정과 시설을 담당하는 안전관리자의 상당수가 비정규직이라면서 남양주 공사현장에서 포스코건설이 고용한 안전관리자는 3명 모두가 비정규직이었다고 꼬집었다.

건설노조는 마지막으로 “안전사고의 재발방지와 지속가능한 건설업의 발전을 위해 건설노동자들의 생명을 앗아가고 있는 건설안전제도를 즉각 개선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