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환율 삼국지]미국 등쌀에 격랑 휩싸인 한중일 외환시장
2016-06-06 18:00
중국은 위안화 가치가 추락을 거듭하며 외화 유출 우려가 커진 상황이고, 일본은 연초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엔고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은 대외 변수에 크게 반응하며 원·달러 환율이 연일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무엇보다 한·중·일 3국의 환율 정책에 대해 미국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각국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6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4월 환율보고서를 통해 한·중·일 모두를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 환율 정책에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
지난달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는 일본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려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재차 강조했고,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3일 한국에 이어 6일 중국을 잇따라 방문해 환율 문제를 거론하며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문제는 한·중·일 모두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기 때문에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6.7%로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일본은 1분기 0.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두 분기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지난 4월 구마모토 지진 등의 여파로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내수 소비, 설비 투자, 수출 모두 뒷걸음질 치며 1분기 경제성장률이 0.5%에 그쳤다.
상황이 이렇자 중국과 일본은 외환시장에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자 다시 환율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추가 완화정책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 복잡한 대외 사정으로 이렇다 할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축통화에 포함되는 중국·일본의 경우 적극적으로 환율 정책을 펼칠 수 있지만 원화는 국제적 통화가 아닌 탓에 방어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번에 환율 관찰대상국으로까지 지정되면서 더욱 제약을 받게 됐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미국 금리 인상 전망으로 외환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중국과 일본이 환율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면서 "한국은 환율 관찰국 지정으로 원화 절상을 유도하는 매도 개입은 예전보다 확대될 수는 있지만 절하를 유도하는 매수 개입은 힘들어져 변동성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