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해외 AS법인에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글로벌 소통강화’
2016-05-30 11:00
현대모비스는 해외 AS법인의 현지인 매니저들과 본사 담당자들 간에 화상회의 형식의 직 소통 채널을 구축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사진=현대모비스]
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전세계 현대.기아자동차의 AS부품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현대모비스가 해외 AS법인과의 직접 소통을 대폭 강화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현장에서 느끼는 애로사항을 적극 개선하고 AS 고객 서비스 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구상이다.
30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해외 AS법인의 현지인 매니저들과 본사 담당자들 간에 화상회의 형식의 직 소통 채널을 구축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미주, 유럽, 중동 등 해외 12개 AS법인의 현지 외국인 매니저 50여 명과 본사 관련 부서 임직원 30여 명이 이 회사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매달 직접 만나 회의를 개최키로 한 것.
하지만 이번에 전 세계 현지 매니저들과 본사 담당자들이 한 데 모여 회의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함으로써 기존 2단계에 이르는 중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아예 없애고 직접 소통할 수 있게 됐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소통 혁신을 통해 문제 개선 속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글로벌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현대모비스 글로벌 AS 경쟁력 강화 방안.[자료=현대모비스]
이와함께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AS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각 개선항목을 세워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개선항목은 △현재 54개에 이르는 글로벌 거점을 2020년까지 60여개로 확대하는 ‘물류거점 확충’ △지역별 중요성에 따라 물류센터를 재정비하고 저순환재고부품을 통합 관리하는 ‘물류합리화’ △각 지역에 맞는 새로운 운송방식을 발굴하는 ‘운송방식 개선’ 등이 대표적이다.
손찬모 해외서비스부품담당 이사는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원활하고 신속한 부품 공급으로 현대.기아차 고객들이 AS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프라 개선에 더해 해외 법인과의 직접 소통 채널을 마련한 것도 완벽한 AS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