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장관 오후 CICA 참석차 출국…'대북공조' 적극외교

2016-04-27 07:56
중·러 외교와 양자회담…회의문서에 北조항 첫반영 추진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지난 21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 한식당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천민얼 중국 구이저우성 당서기와 악수를 하고 있다.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주진 기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27일 오후 '제5차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외교장관 회의 참석을 위해 중국 베이징으로 출국한다.

중국, 러시아 등이 주도하는 CICA 외교장관 회의에 우리 외교장관이 참석하는 것은 우리 정부의 2006년 CICA 가입 이후 처음이다.

윤 장관은 28일 회의장인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또 27일에는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28일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별도의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다.

윤 장관이 외교장관으로서 처음으로 CICA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적극적인 '대북제재 외교, 북핵 외교'의 일환이다.

윤 장관은 25일 기자들과 만나 "외교장관으로서 처음으로 참석하는 이유 중 하나는 북핵, 북한의 미사일 도발 국면에서 (회원국들의) 지지와 협조를 얻는 것이 시기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전통적으로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맺었던 나라들조차도 북핵, 북한의 도발에 대해 굉장히 엄중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그것을 (회의) 결과물에 반영시키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CICA 참석을 계기로 북핵 문제의 심각성과 안보리 결의 이행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부각하고, 북한의 추가도발 억제를 위한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협의 결과를 공식 문서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CICA 공식문서에 북핵 관련 입장이 들어가면 처음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CICA는 유럽안보협력기구(OSCE)를 모델로 아시아 지역 내 상호 신뢰구축과 분쟁예방을 목적으로 1992년 카자흐스탄 주도로 출범한 지역협의체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러시아, 인도, 터키, 이란, 태국을 비롯한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중앙아, 중동 등 26개국이 정식 회원국이며, 미국, 일본은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그동안 외교장관이 CICA 회의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은 한반도 신뢰구축 협조 등을 위해 우리 정부가 CICA에 가입은 했지만 중·러 등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미국이 빠진 지역협의체가 갖는 '안보적' 함의에 따르는 부담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4년 상하이에서 열린 CICA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CICA를 아시아 지역의 안보 협력기구로 만들자고 공식 제안하고 "아시아의 안보 역시 아시아인들이 수호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CICA의 안보협의체적 함의는 더 커졌다는 평가다.

윤 장관도 "CICA 회원국 가운데 서방 국가들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는 국가들이 많다. 우리가 공유하는 부분 못지않게 다소 공유하지 않는 측면도 있어서 (그동안) '로키'로 접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