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자전거 교통사고 10건 중 8건 차량과 충돌… 보호규정 미흡 안전위험 노출
2016-04-22 08:43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내에서 자전거 교통사고가 매년 10% 수준에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자동차와 자전거의 사고가 10건 중 8건을 차지해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자전거 이용자의 보호규정이 미흡해 도로 주행시 안전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서울시가 집계한 '자전거 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2010~2014년) 총 1만6248건이 발생해 145명의 사망자를 냈다. 연도별로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는 2010년 2847건· 34건, 2011년 2861건·19명, 2012년 3225건·29명, 2013년 3250건·26명, 2014년 4065건·37명 등으로 집계됐다.
현행 도로교통법에는 자동차와 자전거의 안전거리 확보(제19조 2항)나 자동차 우회전 때 자전거 주의(제25조 1항)를 규정하고 있지만 위반시 처벌규정이 없다. 또한 자전거 우선도로에서는 자동차가 함께 주행하도록(제13조 6항) 했으나 속도제한이 없다.
서울시와 자출사는 최종 150명의 자전거 안전수호단을 꾸려 내달부터 1년 동안 출‧퇴근시 자율적으로 사업용 차량인 버스‧택시 자전거 위협행위 감시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은 시를 동서남북 총 4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약 30~40명씩 가동된다. 서울시는 접수된 신고를 월별로 집계, 해당 버스·택시업체에 자전거 위협행위 근절과 자전거 이용자 배려 등을 집중 계도·홍보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