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후한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모델 개발 착수

2016-03-04 07:43
뉴타운 해제지역 등에서 난개발, 슬럼화 방지

아주경제 백현철 기자 = 서울시가 뉴타운 해제지역을 등 노후화된 저층주거지를 관리하기 위한 재생 모델 개발에 착수한다.

서울시는 서울시내 111㎢에 분포돼 있는 뉴타운 해제지역 등 저층주거지에 대한 관리 및 재생모델 개발 용역에 착수 한다고 4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재개발‧재건축 등 개발 기대심리로 인한 관리소홀,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따른 건설심리 위축으로 저층주거지 노후화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업 시행 이유를 설명했다. 

기존에 무분별하게 지정됐던 뉴타운 구역이 해제되고 난 이후 관리대책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뉴타운 해제된 지역에서 도시형생활주택이나 다세대주택 신축 등 무분별한 개발행위가 이뤄질 경우 난개발 우려가 있다. 빈집이 방치될 경우 지역 슬럼화 문제도 제기된다.

특히 뉴타운 해제지역, 주거재생활성화지역, 특성화지역 등을 정밀 분석한 후 유형화해 맞춤형 개발방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 용역 중에 시범지역 2곳을 정해 다양한 주거재생기법을 현장에 집중 적용한다. 시민들의 주거지 재생의 효과를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총 용역기간은 10개월, 용역비는 4억8000만원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사업본부장은 “뉴타운 재개발 등 해제지역을 비롯해 서울시내 주거지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저층주거지의 관리 및 주거지 재생 모델개발에 역점을 두겠다”며 “저층주거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료와 경험을 토대로 저층주거지의 문제점에 대해 실질적인 개선점을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