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성향 역대 최저"…적자가구 비중 21%로 사상 최저
2016-02-26 13:09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지난해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비성향이 떨어졌다는 것은 가계가 소비를 자제하고 저축을 늘리고 있다는 의미다. 1%대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정부가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5%→3.5%) 등 내수 진작을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지만 좀처럼 소비는 늘지 않았다.
가계 소득도 6년 만에 가장 낮은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5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1.2%)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 폭이다. 가계동향은 전국 8700가구를 대상으로 소비·지출 등 가계수지를 조사한 것이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득은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만 자영업자 8만9000명이 줄었다. 5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었다.
저소득층 생계급여가 오르고 근로·자녀장려금 지급이 확대되면서 이전소득(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주는 소득)은 9.4% 증가했다.
소득 증가율이 둔화하자 소비심리도 위축됐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소비지출 둔화에는 유가 하락으로 교통비가 3.7% 감소하고 교육비·통신비가 줄어든 점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자동차 구입과 유가 하락 영향을 제외하면 소비지출 증가율이 1.5%로 높아진다"고 말했다.
연간 소비성향은 2003년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71.9%로 떨어졌다.
월 100만원을 버는 가구(가처분소득 기준)가 71만9000원만 쓰고 28만1000원을 비축해 뒀다는 의미다.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2011년부터 5년 연속 하락했다.
돈을 안 쓰고 모으니 적자가구의 비중 역시 사상 최저치인 21%를 기록했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내수가 부진한 점이 반영돼 소비성향이 계속해서 낮아지는 것"이라며 "소비성향 하락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인구구조 변화에 기인하고 있어 당분간 전환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동향 조사상 소득격차는 계속해서 좁혀지고 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2015년 4.22배로 조사돼 2003년 전국 단위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상위 20%) 소득을 가장 낮은 1분위(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배율이다. 이 배율이 작을수록 소득격차가 적다는 것을 뜻한다.
소득 5분위 배율은 2008년 4.98배로 정점을 찍고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김보경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최근 들어 기초연금, 공적연금 등 정부의 이전 지출이 늘어나고 경기 둔화로 고소득층의 사업소득 증가율이 낮아져 소득 5분위 배율이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분위에서 증가 폭이 4.9%로 가장 컸고 5분위가 0.6%로 가장 낮았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1분위(2.1%), 4분위(2.3%)의 증가 폭이 컸고 5분위는 1.3%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