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취임후 3년간 국민 5천29회, 경제 4천203회 언급

2016-02-23 17:53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년간 공개발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국민', '대한민국', '경제'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단어가 합쳐진 결합 키워드로는 '창조경제', '경제활성화', '경제혁신' 등이 많이 언급됐으며 전체적으로 경제 관련 발언이 많았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2월25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연설문과 회의 속기록 등 1천342건의 대통령 공개 발언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박 대통령 공개 발언에서 개별 단어로는 국민이 5천29회로 사용 빈도가 가장 많았다. 이어 '대한민국(4천412회)', '경제(4천203회)', '발전(2천603회)', '협력(2천557회)'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세계(2천148)', '기업(2천106회)', '산업(2천57회)', '문화(1천930회), '혁신(1천737회)' 등이 사용 빈도 면에서 5~9위를 차지했다.

청와대는 "국민과 대한민국이 주로 관용적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 관련어 사용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경제 관련 단어 사용은 결합키워드에서도 두드러졌다.

결합키워드로 '창조경제'의 사용 빈도(1천847회)가 가장 많은 가운데 '경제활성화(1천535회)', '경제혁신(809회)', '일자리 창출(648회)', '평화통일(639회)' 등의 순이었다.

'북한 핵'의 경우 276회로 9위를 기록했다.

청와대는 또 박 대통령이 자주 사용한 50개 단어가 언급된 5만2천853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관용 표현을 제외하면 전체의 49%(2만5천867회)가 정책과 관련된 단어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책 관련 단어 중 경제 관련 언급이 1만7천116회(67%)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정책 관련 언급 10개 중 대략 7개는 경제 문제와 관련됐다는 의미다.

청와대는 사용 빈도면에서 1∼5위를 기록한 결합키워드와 연관되는 말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정책진행 과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가령 창조경제의 경우 2013년에는 '정책', '반영'이란 말과 나란히 쓰였으며 2014년에는 '혁신센터, '성공', '추진' 등이 같이 많이 사용됐다. 또 지난해의 경우 '지역', '지원'이 연관어로 제시됐다.

또 평화통일의 연관어는 2013년 '한반도', '신뢰'에서 2014년 '통일준비위원회', '대박', 지난해에는 '이산가족',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있었던 올해는 '도발', '제재' 등으로 변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