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떨고있니" 여야, 현역 '컷오프' 본격화

2016-02-22 17:00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중앙)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맨 오른쪽), 황진하 사무총장(공관위 부위원장). [사진=새누리당 제공]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여야가 본격적인 '공천' 작업에 돌입하면서 여의도는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은 형국이다. 특히 현역 의원들의 '물갈이'에 대한 공포가 커져가면서 과거 '공천학살'의 악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은 이미 내분을 겪고 있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공천관리위원회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갈등의 골은 깊어질대로 깊어졌다. 아예 현역 중 하위 20%에 대한 컷오프(공천배제) 방침을 밝힌 더불어민주당도 당내 진통이 예고된 상황이다.

22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관리위원회를 향한 불만을 에둘러 표현했다.

이날 대표실 백드롭에서 기존에 쓰여져 있던 '개혁'이란 두 글자가 사라진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정치개혁을 하기 위해서 국민공천제를 확정한 바가 있는데, 지금 현재 공관위가 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아마 개혁이라는 말을 쓰기 부끄러웠던 모양"이라고 답했다. 자신이 주장하는 상향식 공천과 공관위 입장이 다름을 지적하며, '개혁적이지 않다'고 비난한 셈이다.

발단은 각 시도별로 1~3곳의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해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한다는 이한구 공관위원장의 발표였다. 여기에는 새누리당의 텃밭인 대구경북(TK) 지역과 강남 등도 모두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또 '월급쟁이', '양반집 도련님' 같은 표현을 써 가며 이러한 저성과자, 부적격자 등에 대한 공천 배제방침을 밝혔다.

이는 사실상 현역 컷오프와 전략공천이 가능하게끔 문을 열어둔 것이다. 김 대표가 "선거에 지더라도 이한구 안은 받을 수 없다"고 격노하며, 수용 불가 입장을 주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청와대와 친박계를 등에 업은 이 위원장의 행보는 흔들림이 없다. 그는 전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선추천지역에 대한 감이 잡히면 전체 논의를 한 후, 우선추천, 단수추천지역과 집중 심사할 사람들을 대략 가려낼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또 과거 면접을 보지 않았던 현역들을 겨냥해 "현역도 당연히 면접을 똑같이 받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이름표를 달고 후보 면접에 임하는 이색적인 풍경도 펼쳐졌다.

일단 비박계에선 '관망' 쪽으로 방향을 튼 모양새다. 계파 갈등이 불거지면 당의 이미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공관위에 대한 압박도 여론이 좋지 않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공관위 면접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결국 '태풍의 눈'이다. 공천 심사 결과, 한쪽 계파가 대거 탈락될 경우 갈등은 수면위로 터질 수밖에 없다. 비박계로 분류되는 김용태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공천심사위원회가 전권을 휘두르다보니 공천학살이 벌어졌는데, 이번에 우리가 하려는 것은 해당 지역의 주민들로 하여금 하자는 상향식 공천"이라며 " 이 원칙은 흔들릴 수 없다"고 말했다. 전략공천, 상대 계파 자르기 등을 경계한 것이다.
 

김종인 더민주 비대위원장(왼쪽),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 [사진제공=더불어민주당]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태풍 전 고요' 속이다. 그간 금고 속에 봉인해왔던 현역의원 컷오프 명단이 곧 공개된다. 23일 우선 개별 통보되고, 이의 신청 기간을 거쳐 25일 발표될 예정이다.

앞서 '살생부'까지 나돌았지만, 이는 예고편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대다수다. 더민주는 이날 3선 이상 중진의원을 대상으로 하위 50%를 걸러, 도덕성과 경쟁력을 기준으로 보다 촘촘한 현미경 심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윤리위원회 제소 건 등이 있을 경우, 별도 투표도 실시해 배제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당내 중진들을 타깃으로 '공천 피바람'이 예고되고 있다. 당내 중진의원은 30명에 달한다. 아울러 이의 신청 역시 형식적 절차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명단이 발표되면 한차례 후폭풍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장선 더민주 총선기획단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외부에서 온 분들이 굉장히 깐깐한데, 3선 이상은 엄격하게 (심사를) 하겠다는 기준을 적용하자는 취지"라며 "공천에 관한 근본적인 것은 공관위에 위임이 돼 있어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