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색된 남북관계...전력·가스·석유 에너지공기업 손실 불가피

2016-02-15 10:00

11일 경기도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개성공단 내 자재와 장비를 실은 차량이 입경하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개성공단이 폐쇄됨에 따라 남북 관계가 급속하게 얼어붙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개성공단에 공급되는 전기와 가스 등이 완전 단전되면서 해당 에너지공기업의 손실도 예상된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 등 에너지공기업은 개성공단에서 운영중인 사회기반시설에서 전면 철수할 방침이다.

한전은 지난 2004년 12월 북측과 '개성공업지구 전력공급 합의서'를 체결하면서 2005년 3월부터 개성공단 시범단지와 입주기업에 전력 공급을 시작했다. 이후 2007년 개성공단 내에 평화변전소를 준공하고 59년 만에 송전방식으로 북측에 전력을 공급해왔다.

한전은 2007년 당시 개성공단 송·변전 설비를 건설했다. 파주 문산변전소에서 군사분계선을 지나 개성공단까지 16㎞ 구간을 연결한 변전소와 설비에는 총 3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북한이 2013년 개성공단을 폐쇄했을 당시에도 평소 10분의 1 수준인 3000㎾ 안팎의 전력만 배전 방식으로 공급한 바 있다. 당시에도 완전 중단이 아닌 잠정 중단에 그쳤다.

하지만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이번에는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공급을 전면 중단했다. 남북을 연결하는 상징인 송전선로가 개성공단이 죽으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가스공사도 액화천연가스(LNG)를 14.5t짜리 탱크로리에 실어서 개성공단으로 보내고 있다. LNG는 개성공단 내 저장탱크에 보관된 뒤 현지 배관 시설을 통해 아파트 난방용 등으로 공급된다. 연간 공급 규모는 300t 가량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개성공단 내 가스시설은 약 148개로 그 중 소형저장탱크를 통해 LPG를 공급받는 시설은 140여개, 고압가스 시설은 7여개, 도시가스 시설은 1개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으로 수출되는 석유 역시 지난해 1~11월 동안 총 7만5000배럴로 금액으로는 584만7000달러에 달한다. 제품별로는 LPG 3만6340배럴, 경유 3만4230배럴, 휘발유 3690배럴, 등유 440배럴, 아스팔트 180배럴이며. LPG는 E1에서 전량 개성공단 열에너지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단전 조치에 들어가면서 가스공급 등 개성공단의 각종 지원시설이 동시에 중단됐다.

전문가들은 개성공단에 대한 에너지 공급 중단이 북한 경제에 적지않은 타격을 주면서 대북압박으로 톡톡히 작용할 것이라고 관측한다. 다만, 경색된 남북관계로 에너지공기업들의 손실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지역난방공사의 경우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130억원을 투자했지만 매년 2억6000만원의 적자를 냈다. 한전 역시 같은 기간 요금 손실이 21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북 사업에 관련된 에너지 공기업들의 떠앉을 짐이 높다는 분석이다. 북한을 경유하는 가스관을 건설해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한국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케이스다.

러시아 시베리아·극동 지역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북한을 경유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해 한국으로 공급하는 사업은 지난 2008년부터 논의가 시작됐다. 경색된 남북간 긴장감이 장기화된다면 관련 사업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

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사업에 투자한 에너지공기업들의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북한과의 가스·석유 관련 해외사업도 차질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