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중단 후폭풍] 입주 기업들 “완제품·원자재 회수율 관건…향후 줄도산 불가피”

2016-02-11 14:44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이 폐쇄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입주 기업들은 완제품·원자재 회수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11일 한 개성공단 업체 대표는 “후속 보상 대책보다 남아 있는 제품의 회수가 최우선”이라며 “금전적인 피해도 문제지만 원청과의 신뢰가 깨진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일단 완제품 위주로 회수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납품 기일 맞춰야 된다”면서 “그래야 자금이 돌아간다”고 말했다. 현재 개성공단은 1개 회사당 트럭 1대, 사람 2명만 들어갈 수 있는 상황이다.

다른 업체 관계자도 “트럭 한 대만 허용하는 지금의 차량과 인력으로는 어느 세월에 다 제품을 가져오느냐”면서 “회수율이 30%에 채 못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 통일부가 밝히는 피해액은 신고한 금액을 기준으로 증명할 수 있는 최소 금액”이라면서 “생산에 차질이 빚어져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영업손실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3년 전에도 대단한 범정부적 지원을 하는 것처럼 언론에 발표했지만 당시 전체 기업들한테 1000억원 정도 되는, 한 업체당 10억 미만의 돈을 빌려줬을 뿐”이라며 “업체마다 사정의 차이는 있지만 아마 60~70%는 이 상태로 된다면 도산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회장은 정부의 대체 부지 마련 대책에 대해서도 “공장이라는 게 하루 이틀 사이에 만들어지고 쉽게 생산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이제 대체 부지를 마련해서 몇 년 후에 생산을 할 경우, 그동안 기업들이 어떻게 버티겠느냐”고 반문했다.

협회 측도 전날 공장 가동 전면 재검토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상태다.

협회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는 정부의 방침이 결정된 상황에서 민간단체에서 할 수 있는 대책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면서 “후속 대책 마련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일방적인 통보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한 입주기업 대표 “정부에 일주일이나 열흘 정도 북한 측에 최후통첩을 하는 등 말미를 줬어야 했다”면서 “그래야 대외적인 명분도 쌓을 수 있고 기업들도 마음의 준비를 했을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철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한데 굳이 설 연휴에 가동 중단을 선언해야 했는지 모르겠다”면서 “정부가 다 책임질 수 있는지 묻고 싶다”고 울분을 토했다.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도 “개성공단은 남북 문제가 생길 때마다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이번에는 개성공단에서 발생한 문제가 아니라 핵과 미사일이라는 개성공단 외적인 문제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협회는 이날 긴급이사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릴 예정이다. 오는 15일부터 공식 활동 돌입하는 비대위는 완제품·원자재 회수 결과에 따른 손실 규모 등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남북경협보험 외의 금융 지원과 공단 대체부지 확보 등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따라 요구되는 후속 대책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