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BSI ‘86.3’…7개월 내 최저치

2016-01-28 12:35
세월호 사고(94.5) 때보다 낮고 메르스 여파(84.3) 때와 비슷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내수시장 위축과 중국의 경기둔화 등 대내외 악재가 겹쳐지면서 기업의 체감경기가 7개월 이래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2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86.3으로 지난해 7월(84.3)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번 전망치는 지난 2014년 6월 세월호 사고(94.5) 때보다 훨씬 낮고, 지난해 7월 내수시장이 얼어붙었던 메르스 사태(84.3) 수준으로 곤두박질 친 것이다.

BSI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이하면 그 반대다.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급락한 이유는 대외요인뿐만 아니라 대내요인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과 관련해 기업들의 30.6%와 20.8%는 민간소비 위축과 중국 성장 둔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와 블랙프라이데이 등 정책에 힘입어 소비가 개선되는 듯 했지만 올해 그 효과가 소멸되면서 기업들이 소비절벽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문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내수(89.8) △수출(92.3) △투자(96.0) △자금사정(97.0) △재고(103.3) △고용(94.7) △채산성(93.5)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는 100 이상이면 부정적 답변(재고 과잉)이 많다는 의미다.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는 92.1로 9개월 연속 기준치인 100을 밑돌았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95.1), 수출(93.7), 투자(96.5), 재고(104.2), 고용(97.0), 채산성(97.7) 등으로, 자금사정(100.9)를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부진했다.

홍성일 전경련 재정금융팀장은 “2월의 설 명절 효과에도 불구하고 이번 기업 경기전망(86.3)이 급락한 것은 중국 성장 둔화, 환율 불안 등과 같은 대외 요인뿐만 아니라 민간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 마련과 금융시장 모니터링으로 대내외 불안 요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