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케이블3사와 IPv6 서비스 개시

2016-01-26 16:52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케이블인터넷사업자인 C&M, 현대HCN, CJ헬로비전과(이하 케이블 3사) 함께 초고속인터넷의 IPv6 상용서비스를 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상용서비스 개시는 유선분야의 IPv6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미래부와 케이블 3사가 민·관 매칭 방식으로 약 14억원의 투자를 통해 유기적으로 협조·노력한 성과로 평가된다.

초고속인터넷 상용화를 통해 서울, 수도권 및 전북 등 총 11개 지역, 약 5만8000여 초고속인터넷 가입가구가 듀얼 스택 방식으로 IPv6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11개 지역은 C&M이 금천구와 구로구, 종로구, 중구, 구리시, 남양주시, 하남시, 현대HCN이 동작구와 서초구, CJ헬로비전이 전북 남원, 전북 김제 등이다.

유선분야의 IPv6 전환은 우리나라의 IP주소 고갈(전체 IPv4의 93% 소진) 우려 해소와 더불어, 향후 가정 내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요를 촉발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고속인터넷의 IPv6 적용을 위해 케이블 3사는 △인터넷 가입자망 IPv6 전환, △국제 회선 IPv6 연동, △인터넷 공유기 사용 환경 전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개시를 준비했으며, 앞으로 단계적으로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현대HCN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가전제품과 실내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홈을 위한 'IPv6 전용 요금제' 출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래부 강성주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케이블3사의 IPv6 상용화는 유선분야에서도 IPv6 확산을 가속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그간 추진한 무선망의 IPv6 상용화와 더불어 유무선망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CP)들도 올해부터 IPv6 전환에 본격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올해부터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의 IPv6 도입을 위한 정부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한편, 관련 정보 및 테스트베드 제공 등 기술지원에도 힘쓸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