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인상 후폭풍]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015-12-17 07:37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9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환보유액과 경상흑자 등 지표가 견고한 한국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측하면서도,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리스크가 이미 상당 부분 금융시장에 반영됐다는 분석도 높다.

우선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 시장에 유입됐던 자본을 유출하면서 수출 의존국가인 한국 경제에 충격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서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원화가치가 떨어지는 만큼 외국인 자금 이탈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얘기다.

금융감독원 집계를 보면 지난 11월 한 달간 외국인은 국내 상장 주식 1조168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주식·채권 등 유가증권 시장은 환율과 금리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미국 금리변동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중국 경제의 둔화 속도가 빨라진다면 글로벌 시장이 받을 충격도 높아지고, 신흥국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중국이 '위안화 페그제' 폐지를 시사하면서 중국발 환율전쟁 가능성도 거론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증폭되고 있다.

반면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비교적 좋다는 평가를 받아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오히려 득을 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11월 말 기준으로 3684억6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0% 초반으로 양호한 편이다. 올 10월까지 경상수지는 44개월째 흑자행진을 이어가는 등 기초여건이 다른 신흥국과 비교해 튼튼한 편이다.

미국 등 주요 국가와의 통화 스와프도 1000억 달러에 달하는 등 외환위기 방지 시스템이 예전보다 상당히 견고하게 구축돼 있다. 얼마 전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국내 금리가 신용등급이 유사한 다른 나라보다 높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신흥국을 빠져나온 외국인 자금이 한국을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이미 국내 금융시장에 미국 금리 인상과 관련한 리스크가 반영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달러화 강세로 원/달러 환율이 오를 경우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충분한 외환보유액과 지속되는 경상수지 흑자 등 기초여건이 상대적으로 견실하기 때문에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미국 연준의 금리전망 등을 감안하면 과거 1994년이나 2004년 인상 때보다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그 여파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신흥국으로 금융 불안이 확산하면 미국 성장이 제약되고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폭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국도 직간접적 여파를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 금리 인상 여파로 국내 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달러 강세가 심해지면 변동성 완화에 나설 것"이라며 "외국인 자금 유출 상황을 보고 필요하다면 외환·채권시장 안정화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