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조선‧해운...'규모'과 '기술'로 경쟁력 키우는 중국에 위협

2015-12-13 15:09

중국해운집단(CSCL) 홈페이지. [사진 = CSCL]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우리나라 해운‧조선업이 '규모'와 '기술력' 모두에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의 도전을 받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양대 국영 해운업체 중국원양운수그룹(코스코)과 중국해운그룹(CSCL)의 인수합병 초안을 승인하며, 초대형 해운선사 구축을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양사는 정부의 승인과 함께 △컨테이너 운송 △선박임대 △건화물 수송 △금융업무 등 4개 분야에 중점을 둔 구체적 합병안을 공개했다. 글로벌 해운업계의 지각변동을 일으킬 선복량 기준 세계 4위의 '해운 공룡'이 탄생한 것이다.

두 기업의 통합으로 탄생한 해운선사는 향후 중국 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정책 및 자금 지원을 받게될 전망이다.

그간 중국 정부는 노후선박 해체보조금을 비롯해 자국 선사에 대한 대규모 유동성 수혈에 나서왔다. 이는 심각한 불황에도 중국 해운선사들이 초대형 선박발주, 북극항로 개척 등으로 공격적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이 됐다. 

향후 정부차원의 지원은 중국 해운업이 '몸집' 만큼 공격적인 영향력 확대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위기감을 안겨주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움직임속에 양대 해운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설이 흘러나온 바 있다. 하지만 양사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가 없어 현실성이 낮다'는 시장의 반대에 부딪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구체적 지원책을 수반하지 않은 채 단순히 업계 상황이 어려우니 '합치라'는 식의 피상적인 시그널만 주고 있다"고 지적한다.

해운업을 도외시해온 정부가 세계 대형 선사들이 잇달아 합병안을 내놓자, 이에 편승하기 위해 꺼내든 조치라는 지적도 나온다. 해운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을 통한 체질개선도 중요하지만,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정부와 금융권의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세계 1위의 우리나라 조선업도 비약적으로 발전한 중국의 기술력에 위협받고 있다. 중국 대형 조선사들은 정부 지원 하에 '자금력, 인프라, 인력'의 3대 동력을 갖추고 스마트십, 에코십, 크루즈선 등 신성장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년여 전부터 스마트십 연구에 뛰어든 중국은 최근 중국선박공업집단(CSSC)이 주도하는 중국 최초 스마트십 개발계획의 윤곽을 드러냈다. 내년 9월 착공돼 2017년 인도될 계획인 중국산 스마트십 1호의 탄생은 중국 조선 기술력의 진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스마트십, 에코십과 함께 조선업의 3대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크루즈 산업분야에서도 중국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중국 CSSC 산하 상하이(上海) 와이가오차오(外高橋)는 중국 최초로 추진하는 크루즈선박 건조계획을 공개했다. 우리나라가 시도조차 못한 크루즈선 개발에 중국이 먼저 나섰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조선업에 적지 않은 도전이 되고 있다. 

중국이 기술력 제고에 매진하는 동안, 올해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한 한국 대표 조선사들은 초긴축 경영기조를 이어가느라 연구개발(R&D) 투자를 줄이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국내 대형 조선 3사의 올해 3분기까지 R&D 투자액은 작년대비 10~20% 감소했다.

현대중공업의 올해 3분기까지 연구개발 투자액은 약 179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6% 감소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3분기까지 전년동기대비 20% 줄어든 약 650억원을 연구개발 비용으로 지출했다. LNG운반선 관련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역시 수조원대 적자로 활발한 연구개발 진행에 발목이 잡힌 상태다. 대우조선해양은 올 3분기까지 연구개발 비용으로 약 595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약 10% 가량 줄어든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