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분향소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 추모

2015-11-22 15:12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김영삼 전 대통령이 22일 서거하면서 설치된 전국 각지의 분향소에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분향소에서 고인의 영면을 기원하면서 독재·군사정권에 맞서 민주화를 이끌었던 김 전 대통령의 죽음을 애도하고 하나회 숙청, 금융실명제 시행, 역사바로세우기 등을 거론하며 업적을 기렸다.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시는 김 전 대통령을 추모하기 위해 시청 1층과 부산역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부산은 김 대통령이 1979년 의원직 제명을 당하자 항의시위가 촉발돼 부마항쟁이 일어났던 곳이다.
 
경상남도는 도청 앞 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주말이면 200~300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거제 외포리의 김 전 대통령 생가에도 이날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거제시는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과 생가 인근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김 전 대통령이 1969년부터 거주한 상도동 자택 건너편 주택은 조기를 게양하는 등 애도를 표했다.

상도동 자택은 김 전 대통령이 1980년대 초 가택연금을 당하면서 23일간의 단식투쟁을 시작한 곳이다.

상도동계라는 명칭이 나올 정도로 김 전 대통령의 자택은 우리나라 정치와 민주화 운동에서 상징적인 존재였다.

한 시민은 김 전 대통령이 가택연금을 당했던 시절 경찰들의 경비가 삼엄했던 기억을 떠올리기도 했다.

광주 전남 지역에서도 5.18 민주화운동 특별법 제정과 국가기념일 지정 등을 통해 나섰던 김 전 대통령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일고 있다.

시민들은 김 전 대통령이 광주가 지지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민주화에 나섰던 점을 기억하며 애도에 나섰다.

5.18 시민단체 등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특별법 제정 결단으로 역사바로세우기 활동이 시작되고 5.18에 대한 진실 규명 등 대응의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김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95년 5·18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1996년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등 신군부세력에 대한 처벌이 이뤄지면서 폭도로 몰려 내란죄 등 누명을 썼던 광주시민들의 명예가 회복되고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가 내려지기도 했다.

김 전 대통령은 신민당 총재였던 1980년 신군부의 5·17 조치로 3년 여간 가택연금 조치를 당했고 1983년에는 5·18 3주년을 맞아 23일간 단식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전국에서 분향소를 찾은 시민들은 갑작스런 서거 소식에 놀라움을 표하면서 단식투쟁에 나서는 등 고인의 민주화를 위한 기여와 금융실명제 등 대통령으로 개혁에 나섰던 데 대해 경의를 표했다.

시민들은 김 전 대통령이 가택연금 등을 당하면서도 헌신해 우리나라가 이만큼이라도 살고 있다며 긍정으로 평가하면서 금융실명제 등을 시행하면서 우리나라의 투명성을 높인데 대해서도 평가를 했다.

하나회 숙청과 역사바로세우기를 통해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법정에 세운 데 대한 기억도 떠올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면서 요구되는 글로벌 투명 체제를 따라가지 못하고 금융위기를 맞은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기도 했다.

온라인에서도 추모의 물결이 이어졌다.

포털에는 김 전 대통령이 조선총독부 건물을 폭파하는 등 과감한 개혁을 떠올리는 글과 함께 첫 문민 대통령을 평가하는 글들과 함께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사고와 IMF 사태와 친인척 비리 등이 불거진 데 대해서는 아쉽다는 지적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