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2월 금리인상 가시화...향후 우리나라 산업 기상도는?

2015-11-19 16:39

[사진 = 삼성전자 제공]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12월 금리인상이 가시화되면서, 우리나라 산업계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별로 온도차가 존재하지만, 미국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수입 수요 증가와 함께 달러강세가 우리나라 기업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단 전반적인 세계경제의 미약한 회복세, 신흥국 금융 불안 우려, 일본의 엔저와 중국의 기술추격 등이 효과를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분야별로 미국 금리인상의 영향을 덜받는 가전과 자동차 분야는 미국 현지 수요증대에 따라 수출이 증가할 전망이나, 철강과 기계 분야는 금리인상에 따른 투자감소에 저유가 장기화까지 이어지며 수출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전, 자동차, IT‧통신, 반도체...수출 전망 긍정적
금리인상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인 가전과 자동차 등 분야의 수출전망은 밝다. 미국 현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우리나라 기업에 수혜를 가져다 줄 전망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대표 전자기업이 북미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한달간 북미TV 시장에서 최초로 1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LG전자도 드럼세탁기 등을 앞세워 북미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뿐 아니라 다른 시장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도 높아, 당장 금리인상에 따른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단지 미국은 핵심 시장 중 하나인 만큼, 미국 프리미엄 시장공략을 통해 영향력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차분야도 미국의 전반적 경기회복과 교체수요로 신차구입이 증가해 낙관적 전망이 예상된다. 지난달 현대‧기아차가 미국에서 역대 최고 판매기록을 달성하는 등 우리나라 제품 수출이 늘고 있다는 점이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실어준다. 여기에 가전과 마찬가지로 달러 강세화에 따른 수익성 제고가 예상된다.

단 구글과 테슬라를 비롯해 글로벌기업이 현재 개발에 주력하는 무인자동차와 전기자동차 등 신상품 관련 수요가 급증하며 우리나라 업체의 기술경쟁력 확보가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보유한 IT업체와의 기술협력과 현지 생산비중 확대, 현지동향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현지화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IT‧통신은 신기술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확대는 긍정적이나, 치열한 글로벌 기업간 가격 경쟁이 우리나라에 가장 큰 도전이 될 전망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미국 애플을 비롯해 중국의 저가 스마트폰 업체까지 과열경쟁 양상을 보여 우리나라 기업의 이익감소가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IT 관련 신상품 발표에 따른 신수요 증가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스마트워치나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사용되는 센서 등 비메모리 반도체 수출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메모리분야가 강한 우리나라의 경우 비메모리 수요증가에 따른 이익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 글로벌 제조사가 많아 장기적으로 대(對)미 수출이 증가할 수 있으나, 당장 큰 효과가 기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 철강, 기계...저유가, 투자위축으로 수출 둔화 우려
철강분야는 미국 건설경기 회복에도 불구하고, 수출전망이 밝지 않다. 장기화되는 저유가 현상에 금리인상까지 이어질 경우, 셰일가스와 송유관 산업에 대한 투자가 급감할 수 있다.

실제 세계적인 철강수요 감소와 저유가 장기화로, 미국 에너지투자가 급감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철강업이 금리인상에 따른 금리‧환율 영향보다 에너지산업의 현재 동향에 의존하는 만큼, 부정적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계분야도 금리인상 이후 설비투자가 크게 위축되며 수출이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주로 달러로 거래되는 농산물 가격하락을 야기하고, 이는 농업산업 위축으로 이어져 관련 기계수출도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원유 및 광물가격 하락으로 주요 에너지산업이 침체되며 관련 기계류 수요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