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총리 "시간선택제, 일자리·저출산 문제 해결"
2015-11-18 13:39
신한은행 본점 방문…'시간선택제 도입 기업'과 간담회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황교안 국무총리는 18일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관련해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대하고 우리 사회의 최대 현안인 일자리 창출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적인 제도"라고 말했다.
황교안 총리는 이날 서울시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시간선택제 관련 현장간담회를 하며 "우리나라는 경제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4대(공공·노동·금융·교육) 개혁을 완수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간선택제는 자녀보육·퇴직준비·학업·간병 등의 사유로 일정기간 동안 근로시간을 단축해 근무하는 것으로 전일제 근로자보다 적게 일하면서 고용 등에 있어서 차별이 없는 일자리 제도다.
정부는 그간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신규창출에만 지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올해부터 전일제 근로자가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전환하거나 기업에서 시간제 일자리의 근로조건을 개선할 경우에도 지원하는 등 지원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황 총리는 "시간선택제가 기업에는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근로자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윈-윈(Win-Win) 제도가 돼야 한다"며 "노사상생의 고용 문화로 정착되려면 기업과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어 "정부는 시간선택제를 지원하기 위해 예산을 확충하고 컨설팅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공공부문에서 먼저 시간선택제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적합 직무를 발굴하고, 시간선택제 공무원 채용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기업은 전일제 근로자와의 차별을 없애는 등 근로조건 개선에 힘써 주고, 근로자는 행복한 가정과 함께 활기찬 일터를 만들어 회사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신한은행, 신세계, 성심당, 에어코리아, 미즈메디병원 등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한 5개 기업 대표와 근로자가 참석했으며, 노사발전재단과 여성정책연구원의 관계 전문가도 자리를 함께했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마련하면서 양육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올해 5700개에서 1만4605개로 2배 이상 늘리기로 하고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황교안 총리는 이날 서울시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시간선택제 관련 현장간담회를 하며 "우리나라는 경제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4대(공공·노동·금융·교육) 개혁을 완수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간선택제는 자녀보육·퇴직준비·학업·간병 등의 사유로 일정기간 동안 근로시간을 단축해 근무하는 것으로 전일제 근로자보다 적게 일하면서 고용 등에 있어서 차별이 없는 일자리 제도다.
정부는 그간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신규창출에만 지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올해부터 전일제 근로자가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전환하거나 기업에서 시간제 일자리의 근로조건을 개선할 경우에도 지원하는 등 지원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황 총리는 "시간선택제가 기업에는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근로자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윈-윈(Win-Win) 제도가 돼야 한다"며 "노사상생의 고용 문화로 정착되려면 기업과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어 "정부는 시간선택제를 지원하기 위해 예산을 확충하고 컨설팅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공공부문에서 먼저 시간선택제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적합 직무를 발굴하고, 시간선택제 공무원 채용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기업은 전일제 근로자와의 차별을 없애는 등 근로조건 개선에 힘써 주고, 근로자는 행복한 가정과 함께 활기찬 일터를 만들어 회사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신한은행, 신세계, 성심당, 에어코리아, 미즈메디병원 등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한 5개 기업 대표와 근로자가 참석했으며, 노사발전재단과 여성정책연구원의 관계 전문가도 자리를 함께했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마련하면서 양육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올해 5700개에서 1만4605개로 2배 이상 늘리기로 하고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