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산업 구조조정설, 설레발치는 정부
2015-11-17 13:46
하지만 최근 모듈 가격은 중국발 수요 강세 덕분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해결책이 없어보였던 중국의 모듈 공급과잉 현상이 언제 그랬냐는 듯 반전됐다.
여기엔 태양광 부실기업의 퇴출을 이끌었던 중국정부의 인위적인 구조조정 역할이 있었다.
또 한화큐셀, 웅진에너지 등 국내 기업이 올들어 흑자전환한데는 고품질 제품 제조기술 역량 제고 및 수주 확대를 위한 자가 노력도 컸다.
이를 놓고 보면, 국내 구조조정 이슈가 높은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업계도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장기간 침체됐지만, 향후 어떻게 반전될지 모를 일이다.
실제 중국에선 태양광 모듈처럼 PTA도 공급과잉을 타개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에선 PTA 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정부 개입을 두고 잡음이 생기고 있다. 업체간 합병을 통해 구조적 위기를 해결하려는 게 정부에서 흘러나오는 산업재편 방안의 골자다.
국내 정부가 중국처럼 인위적인 산업재편을 종용하는 데 업계의 반발이 없을 수 없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최근 컨퍼런스콜에서 “PTA 구조조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려는 인위적인 합병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기업별로 원가절감, 가동률 조정을 통해 자율적으로 퇴출, 생존하는 게 이상적”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롯데와 효성의 경영진도 모두 인위적인 합병안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이 빠르고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자유시장경제인 우리나라가 결코 따라할 수는 없다.
정부가 경제 살리기를 위해 조바심이 난다면, 산업활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업계를 지원하는 게 가장 바람직한 최선의 역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