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7080-②] 제조업은 '한국의 힘'…주도권을 잡아라

2015-11-17 08:13

[사진제공 = 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제조업은 1970~80년대 우리나라의 눈부셨던 경제성장을 주도한 주력산업이다. 최근 우리 제조업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제조업은 한국경제를 지탱하는 힘이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제조업으로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최근 독일, 미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도 제조업을 기반으로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우리나라 역시 제조업의 변혁을 통해 한국경제의 기반을 다져야 할 시점이다.

◆ 한국경제의 밑거름, 제조업이 흔들린다.

1970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255달러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2만4565달러로 100배 가까이 성장했다. 반세기 만에 이룬 쾌거다.

천연자원이 거의 없고, 좁은 국토를 가진 우리나라가 이런 눈부신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건 강한 제조업이 바탕이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우리 제조업이 흔들리고 있다. 우리나라가 산업화를 시작한 1961년 이후 처음으로 제조업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제조업 매출액은 1726조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우리 제조업이 매년 두 자릿수 이상 성장했던 사실을 감안하면, 제조업 후퇴가 빨라도 너무 빠르다.

새로운 먹거리, 즉 다른 전략 산업의 육성과 함께 제조업의 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대두되는 이유다.
 

[그래픽 = 임이슬 기자]



◆ 선진국들의 제조업 진화 노력…제조업 4.0

최근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제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변화를 꾀하고 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정책으로 선진제조업을 내세워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다.

독일은 'Industry 4.0'을 통해 모든 제조공정의 스마트화를 추진 중이며 미국은 'Making in America', 일본 역시 '산업재흥플랜'을 내놓고 경쟁우위를 다지는 중이다.

전통 강호뿐만 아니라 신흥국도 변화 주도의 각축전에 뛰어들었다.

최근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전략을 발표하며 미래 신산업 10대 분야 육성을 통해 독일·일본 수준의 제조업 경쟁력을 갖추는 목표를 세웠다.

12억의 인구와 소프트파워를 바탕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신흥강국 인도 역시 'Make in India'를 추진하며 제조업 부문 일자리 1억개 창출을 공언했다.

◆ 제조업 선두주자 독일…제조업에 IT를 접하다

제조업이 강한 나라 중 독일은 어디서나 모범 사례로 꼽힌다.

이런 독일이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찌감치 도입한 정책은 '인더스트리 4.0'이라고 불리는 제조업 혁신 노력이다.

독일은 이 프로젝트 관련 연구개발(R&D)을 위해 한 해 2억 유로를 투입하는 등 제조공정 디지털화에 노력하고 있다.

정책의 핵심 내용은 '스마트 공장'이다. 강력한 제조업 기반에 정보기술(IT)을 결합해 경쟁력을 더 높이겠다는 것이다.

스마트 공장은 공장 내의 모든 시스템, 심지어 투입될 원부자재까지 모두 IT로 연결해 공장 스스로가 가장 효율적인 제조 공법을 자동으로 만들어 가게 하는 기술이다.

새로운 개념의 공장이지만 독일의 주요 제조업 공장들은 거의 모두 이를 실천해 나가고 있다는 점이 놀라울 따름이다.

독일은 제조업 4.0이 실현되면 생산성이 30% 올라가고 연간 100억 유로의 경제 파급효과가 생긴다고 밝혔다.

◆ 제조업 르네상스 꿈꾸는 일본과 미국

최근 엔저를 등에 업고 경기부흥을 꿈꾸는 일본도 제조업 혁신을 꾀하고 있다.

아베 정권은 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미래투자 및 생산성 혁명 계획을 담은 산업재흥플랜을 천명했다.

일본은 지난 2013년 '산업재흥플랜'을 기획해 스마트 공장을 비롯한 차세대 인프라 구축에 지난해에만 약 1000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일본 제조업 르네상스의 핵심은 '첨단설비투자 촉진', '과학기술혁신 추진'이다.

일본은 2012년에 63조엔 수준이던 연간 설비투자액을 3년 안에 70조엔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 6월 미쓰비시전기, 파나소닉, 닛산 등 주요 일본 제조사 30곳이 공장 인터넷 연결 표준화를 위해 산업밸류 체인 이니셔티브(IVI) 컨소시엄을 결성해 인더스트리4.0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 역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R&D 투자액을 2004~2008년에 비해 10.4% 늘리는 동안 산업 제품 및 제조공정 기술 투자는 43.3%나 확대하는 등 이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첨단 제조 파트너십(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이라는 육성정책을 가동, 첨단 제조업을 육성해 부가가치를 만들어낸다는 목표를 세우고 2016년 예산만 6억800만 달러를 투입한다.

이에 미국 제조업체 수는 지난 2013년 3분기부터 증가세로 전환했으며 해당 분야 고용도 증가했다.

미국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 5월 1231만명까지 확대되며 금융 위기 이전인 2008년의 월평균 1350만명에 근접했다.

또 컴퓨터와 전자제품, 운송장비 등 내구재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역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평균 97.1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108.3으로 10점 이상 증가했다. 연평균 성장률도 1.6%에서 2.8%로 높아졌다.

◆ 한국의 제조업혁신 3.0…2020년까지 스마트 공장 1만개 보급

선진 제조국가의 문턱에 들어선 한국도 이번 정부 들어 '제조업 혁신 3.0' 운동을 벌이고 있다.

매년 2000억원 이상씩 2020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스마트 공장 1만개를 보급한다는 게 목표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노후한 영세기업들을 스마트 공장으로 바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또한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율주행자동차, 무인항공기,지능형로봇등 스마트 융합제품의 조기 사업화도 진행중이다.

주력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한 대형화, 전문화, 신산업 진출등 기업의 자발적 사업재편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내 협의체'를 구성, 민간협의체와 추진방향을 협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사업이 효과를 거둘 경우 2017년 국내 제조업 부가가치율은 23%(2013년)에서 26%로,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47달러(2012년)에서 55달러로 증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미국(Making in America), 독일(Industry 4.0) 등 경쟁국들은 제조업과 IT 융합을 통한 제조업 혁신을 근본적 해법으로 제시하고 대응 중"이라며 "우리도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향후 10년간 꾸준히 추진해 나간다면 산업 생태계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전 세계적인 제조업 르네상스…한국엔 위협이자 기회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펼치는 제조업 육성 정책이 제조업 강국인 우리나라에는 위협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과 핵심 제조 분야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며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는 것도 우리 제조업이 풀어야 할 숙제이기 때문이다.

코트라(KOTRA)가 최근 발표한 '주요국의 제조업 육성정책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들은 세계 제조업의 선도국가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첨단 제조 분야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세계 각국의 제조업 육성 붐은 우리 제조업에는 위협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등 우리가 강점을 지난 분야에서 확실하게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산학연 협력, 민관 연구소 간 공동 연구개발, 대중소기업 간 협업, 선진국 연구소 및 기업과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 대내외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인도, 러시아, 에콰도르 등 제조업 기반이 약한 나라와는 기술 공유, 유휴 설비 수출 등을 통해 동반 성장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