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잇따른 자사주 매입…소각은 4% 불과
2015-11-04 17:02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 삼성전자가 11조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하는 등 국내 대기업들이 잇따라 자사주 매입에 나서면서 자사주 매입·소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국내 기업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이미 지난해 연간 수준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자사주 매입이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이지만, 매입 후 소각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일시적 효과에 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4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까지 국내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 규모(처분가 기준)는 4조2752억원으로 2013년 1조5866억원, 2014년 3조4781억원보다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사주 매입(직접 취득) 공시 건수도 총 48건으로 2013년(34건), 2014년(46건)보다 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9일 11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도 각각 7085억원, 532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할 예정이다. 9월에는 현대모비스가 22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사들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사주 소각 규모는 미미하다. 10월까지 자사주 소각 금액은 21억원으로 매입 금액의 4.3%에 불과하다. 지난해(15억원)보다 늘었지만 2013년(57억원)보다는 되레 줄었다. 올해 관련 공시 건수는 10건으로, 매입 건수의 5분의 1 수준이다.
자사주 매입은 주가상승을 이끈다는 점에서 자사주 소각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배당소득세를 내야하는 배당과 달리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 이득에 대한 세금은 면제돼 소액주주에게 더 유리하다.
그러나 소각 없는 자사주 매입은 장기 주가 상승을 보장하기 어려워 진정한 주주환원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자사주 매입 시 처분 내역을 보면 대다수가 직원 인센티브나 재무구조 개선 등의 명목으로 사용된다"며 "소각하지 않으면 결국 다시 시장에 나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주지 못 한다"고 말했다.
대주주와 소액주주 간 이해가 상충될 경우 대주주의 이익을 위해 자사주가 활용되는 사례도 있다. 앞서 삼성물산은 제일모직과의 합병과정에서 우호지분 확보를 위해 자사주 5.76%를 제일모직의 2대주주 KCC에 매각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자사주 매입은 주주환원과 함께 유사시 활용할 자산을 축적하는 것이므로 기업이 이를 소각하지 않은 것을 잘못으로 볼 수는 없다"며 "단, 자사주 소각보다는 주가상승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