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상하이에서 원화 사고판다...'원화국제화' 탄력붙나
2015-11-01 14:59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한국의 원화 국제화 행보에 속도가 붙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 내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을 개설키로 한 것이다. 이는 해외에서 원화거래(자본거래 목적)가 허용되는 최초의 사례다. 전문가들은 위안화 국제화와 맞물려 원화 국제화를 통해 대외 리스크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고 평가한다. 또 무역결제에서 발생되는 거래비용을 줄여주는 장점도 있다.
1일 정부에 따르면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상하이에 원·위안화 시장을 조속히 개설하고 거래활성화에 협조하기로 했다. 관련법 개정 및 시스템 구축 등을 감안하면 개설 시기는 내년 상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12월 서울에서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을 개설한 데 이어 한·중 간 금융협력 범위가 커진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환투기 우려 등을 이유로 해외에서 원화 직거래를 허용하지 않았다. 특히 환율 변동성이 심한 한국의 특성상 외환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컸다. 반대로 원화 국제화를 통해 무역거래에서 원화 결제 비중을 높여야 한국 기업들이 오히려 환율 변동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견도 많았다. 박해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수출입 기업들이 원화를 달러화로 바꾸지 않고 바로 원화로 결제하면 환 리스크 등이 크게 줄어든다”고 말했다.
여기에 막대한 외환보유액을 쌓아야 하는 부담도 줄어든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분기 한국 기업들의 수출입 대금 결제에서 기축통화인 달러화 결제 비중은 86.1%, 유로화는 5.1%다. 원화 결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불과했다. 수출입 대금에서 원화 결제 비중이 높아지면 굳이 달러화를 많이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
오는 12월이면 개장 1년을 맞이하는 국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도 업그레이드 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르면 올해 안에 원화와 중국 위안화를 거래할 때 기존 재정환율 대신 직거래환율을 사용할 계획이다.
이번 합의에 따라 정부는 위안화로 표시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처음 발행하기로 했다. 위안화 표시 채권시장의 성장과 위안화 국제화에 대응하기 위한 결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