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인력 취업기피, 산업계 '고민'…정부, "현장과의 온도차 줄여라"

2015-10-21 07:21
산업별 현장 인력문제 해결, 업종별 릴레이 간담회…약 한달간 진행
산업전망·업황, 이에 따른 인력·교육훈련 수요분석·대안발굴
산업계가 직접 발벗고 나서…이를 토대로 한 정책 활용

[사진=아주경제신문DB]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과 수출 전진기지인 산업단지의 현장 인력문제가 산업계 고민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산업계가 겪는 현실과 정책 간 온도차를 좁히기 위한 ‘산업인력 정책사다리’를 추진한다.

20일 산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가 후퇴하고 있는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산업구조와 혁신역량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산업기술인력들의 취업기피 현상은 더욱 심화되는 분위기다.

산업단지는 지난 1964년 구로공단을 시작으로 지난해 1074개 조성되는 등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선도해왔다. 산업단지에는 8만520개 업체와 207만명의 근로자가 종사하면서 지역경제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큰 곳이다.

하지만 기반시설의 노후화와 구조고도화 지연에 따라 경쟁력을 잃어 스마트 공장 등 첨단산업단지를 위한 정책을 지원해왔다.

특히 정부의 8대 전략산업 중점 추진방향은 전통 제조업 및 뿌리산업 구조고도화를 조속히 추진하고 첨단산업단지에 민간투자와 우수 인재를 유치하는 등 지식·융복합 기반의 전략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산업현장에 투입할 기술인력수요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는 과거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부처별 이관이 발생하면서 인력양성의 정책기조가 전환되는 등 오락가락 정책에 따른 원인 탓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인력양성사업이 임기응변식으로 추진됐다는 지적이 공통된 의견이다.

아울러 산업전문인력 수혜자의 지역편중현상과 지역별 미스매칭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산업별 인력수요자인 기업·공급자인 대학 등과 긴밀한 체계를 구축하는 등 실제정책으로 연결할 수 있는 ‘산업인력 정책사다리’ 활용을 추진키로 했다.

즉, 산업계 주도로 산업인력 애로사항을 발굴하면 구체적인 대안을 정책으로 마련하겠다는 심산이다.

따라서 정부는 민간 주도 인적자원개발 협의기구인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SC)’와 자동차·바이오·신재생에너지·철강·조선 등 산업 현장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이에 대한 첫 스타트로 서초동 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서 자동차(부품)산업 간담회를 진행하는 등 자동차업계 전반의 고용확대 유도 및 산업경쟁력 제고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미래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전기차·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 분야의 선제적 인력양성 방안 등도 거론됐다.

김홍주 산업부 산업인력과장은 “노동개혁 추진·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해 자동차산업이 당면한 인력현안과 해결방향을 산학관이 함께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며 “산업계 주도로 산업인력 애로사항을 지속 발굴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