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과학정상회의, 11년 만에 문 활짝…"공유경제·자본주의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대 온다"

2015-10-19 15:30

미래창조과학부가 19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을 개최했다. 황교안 국무총리, 최양희 미래부 장관, 권선택 대전광역시장 등이 개회식을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사진=미래부 제공]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에너지·운송수단·통신의 출현에 따른 한계비용제로의 공유경제가 미래 삶을 바꿀 것입니다.”

경제위기·기후변화·감염병 등 국제 현안 해법을 논의하는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가 19일 대전 컨벤션센터(DCC)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의 개막 선언을 시작으로 닷새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이날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전 세계 57개국 과학기술 분야 장·차관급 인사와 12개 국제기구 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적 전염병 등 글로벌 이슈의 해결은 한 나라가 아닌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창조’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계과학기술포럼은 국제사회가 그 해법을 찾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정상회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과학기술장관회의를 확대·개편한 것으로 1963년부터 2004년까지 OECD 본부가 있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이후 11년 동안 글로벌 경제 위기가 몰아치면서 개최되지 못하다 이번 한국 유치로 아시아에서 최초로 열리게 됐다. 미래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 참가자는 3000여 명에 달한다.

개막식 직후 이어진 세계과학기술포럼에서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은 ‘디지털 한국, 제3차 산업혁명과 한계비용제로 사회’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리프킨은 “1·2차 산업혁명은 생산성 하락으로 인해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됐다”면서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신재생에너지·무인운송수단·통신의 출현으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경제 체제에 이어 협력적 공유경제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물건을 소유하지 않고 빌려 쓰는 공유경제에서는 한계비용(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생산비용)이 제로에 가깝다”며 “기존 자본주의와 함께 경제를 이끄는 하이브리드 시대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럼은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과학기술과 미래변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과 창조경제, 지속가능 동반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등 크게 네 갈래 대주제를 놓고 12개 일반세션과 4개 특별세션이 진행된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 노벨상 수상자 아론 시카노바(2004년·이스라엘), 노요리 료지(2001년·일본) 등이 참석한다.

20일에는 ‘아세안+3(한·중·일) 장관급 포럼’과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가 열린다. 21일 OECD 과기장관회의 2일차 회의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대전 선언문’을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대전 선언문’은 우리나라가 이번 회의 개최국이자 의장국으로서 향후 10년간의 세계과학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대전 선언문’의 키워드는 ▲강하고(strong) ▲지속가능하며(sustainable) ▲포용적인(inclusive) 성장 추구다.

22일은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총회가, 회의 마지막 날인 23일에는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가 진행된다. OECD 과기장관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에서 논의된 성과들의 국내 정책 시사점과 향후 추진방향을 토론하고 세계과학정상회의 전반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대단원의 막이 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