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립과학재단 서울대와 국제 연구협력 성공 사례 소개
2015-08-24 01:57
황 폐기물에서 광학렌즈, 자동차 배터리 원료 개발
[사진=미 국립과학재단 ]
아주경제 워싱턴특파원 박요셉 기자 = 미 국립과학재단(NSF)은 최근 재단이 지원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 연구협력 사례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차국헌, 성영은 교수 등이 참여하는 황 폐기물 이용 연구를 소개했다.
NSF 웹사이트에 소개된 이 연구는 차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 연구팀과 제프 편 교수, 리차드 글래스 교수 등 미 애리조나 대학교 연구팀, 그리고 델라웨어 대학교 재료과학공학부 마이클 멕케이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 NSF는 이 연구가 '지속 가능한 화학, 공학 및 재료(SusChEM)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한국의 국제 연구팀은 황을 기반으로 만든 플라스틱을 가볍고 저렴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원료로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미 장난감부터 렌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에서 황 기반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는데, 그동안 보다 광범위하고 새로운 수준의 이용 방법 개발을 계속해왔다.
연구팀은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황에 유기물질을 첨가해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고 굴절률과 투과율이 뛰어난 광학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연구팀은 황을 이용해 보다 가볍고 저렴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개발했는데 이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에 비해 4배에서 5배까지 충전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성능은 높은 굴절률과 우수한 중앙 적외선 투명성, 그리고 온도감지 센서 및 의료용 영상기기 등에 이용 가능한 정도로 뛰어난 황의 광학적 특성 덕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