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내년부터 임금피크제 실시…주요그룹 중 가장 빨라

2015-08-20 14:17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두산그룹이 국내 주요그룹 중 가장 먼저 모든 계열사에 대한 임금피크제 도입을 마무리했다. 노조의 입김이 센 제조업 위주 사업을 영위중인 두산그룹의 이같은 움직임이 다른 기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관심 대상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두산건설, 두산엔진, 두산DST, 두산캐피탈, 오리콤, 네오플럭스, 두산타워 등 주요 계열사에 대한 임금피크제를 이미 도입한 데 이어 최근 마지막 걸림돌이던 ㈜두산 내 일부 BG의 임금피크제 도입도 확정했다.

국내 주요 그룹 중에 두산그룹만큼 조기에 모든 계열사를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곳은 없다.

현대차그룹이 내년부터 전 계열사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으나, 아직 노조와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SK그룹도 최태원 회장 출소에 맞춰 임금피크제 도입을 전 계열사로 확대하려 했으나 현대차그룹과 비슷한 상황이다.

두산의 이같은 움직임은 박용만 두산 회장이 임금피크제 도입을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기 때문이다. 특히 두산인프라코어의 경우 고용노동부에서 임금피크제 모범기업 사례로 선정해 소개했을 정도다.

두산은 정부의 임금피크제 권장 초기부터 빠르게 도입을 준비해 원만한 노사 합의로 지난해까지 대부분 도입을 마쳤고, 올해 나머지 계열사도 마무리지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년여 준비 기간을 거쳐 지난해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대신 58세부터 임금이 20%, 59~60세까지는 30% 하향 조정됐지만, 제도의 필요성과 사회적 파급 효과 등에 대해 노사가 이해한 만큼 무리 없이 제도가 정착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임금피크제를 한 지난해 358명을 신규 채용했다. 전년(154명)보다 신규 채용 규모가 두배 이상 늘어났다.

아울러 두산은 임금피크제와 함께 정년 60세 연장도 모든 계열사에 적용한다.

두산 계열사의 정년은 사무직과 생산직이 다르다. 사무직은 두산중공업이 56세, 두산인프라코어가 55세이며 생산직은 두산중공업이 60세, 두산인프라코어는 58세였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생산직은 정년을 채우고 '촉탁 1년'이 가능해 사실상 59세까지 일할 수 있었다.

두산중공업은 임금피크제와 연계해 지난해까지 기술직 정년을 58세에서 60세로, 사무직 정년을 56세에서 60세로 각각 연장했다.

지금까지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 378개 중 177개(47%)만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상황이다. 삼성 등 자산총액 기준 1~15위 그룹은 계열사 275개 중 151개(55%)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LG, 롯데, 포스코, GS그룹은 주요 계열사가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아직 도입하지 않은 일부 계열사도 올해 하반기나 내년 이후 도입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각 계열사의 상황을 고려해 계열사별로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