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환율전쟁…한국경제 ‘샌드위치’ 위기

2015-08-17 07:10
中·日 저환율 한국수출 직격탄
당국 뚜렷한 대응 카드 못 내놔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일본 엔화 약세가 3년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내리며 한국경제가 ‘샌드위치’ 위기에 놓였다. 커기는 대외변수에 한국경제는 수출부터 내수까지 전체적으로 휘청대고 있다.

정부는 위안화까지 저환율에 돌입하자 일본과 중국의 움직임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위안화 절하는 중국인들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환율 때문에 해외여행이나 수입품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이어질 수 있어 우리나라 화장품, 관광업 등 관련 산업에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난 2012년 12월 취임한 아베 신조 정권의 금융완화 정책인 '아베노믹스'를 앞세워 엔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환율전쟁에 돌입했다. 이 영향으로 한국 경제는 수출전선에서 일본과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일본과 수출경쟁은 어느 정도 내성이 생겼지만 여전히 수출부진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깎아먹는 수준까지 내려앉았다.

문제는 중국이다. 중국이 수출을 늘릴 목적으로 자국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린 것은 일본 엔저와 성격이 다르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일본의 엔저는 혜택을 보는 업종도 있는 만큼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중국의 위안화 절하는 한국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크다는 이유다.

중국이 전격적으로 위안화 절하 조치를 단행하자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이 출렁이는 등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한국 경제도 대형 대외변수에 쉽게 휘둘릴 수 있음을 방증하는 대몯이다.

특히 한국 금융당국이 돌출하는 대외변수 충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위안화 절하는 한국경제가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위안화 절하 발표 직후에도 뚜렷한 대응방안을 내놓지 못했다. 지난 13일 주형환 1차관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어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시장 추이를 놓고 의견을 나눴지만 구체적인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다행히 13일 인민은행이 위안화 평가절하 기조가 계속될 여지가 없다는 발표 직후 정부는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위안화 평가절하는 매우 과감한 형태의 금리 인하를 한 것과 비슷하다”며 “대외변수로 인해 금융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를 곧장 내리기는 어렵겠지만 상황에 맞춰 인하하는 걸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역시 “위안화 가치가 떨어져 중국과 경합관계인 수출 주력품이 고전할 수 있다”며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우리는 금리를 내리거나 인상시기를 늦추는 것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아울러 구조개혁을 통해 내수중심으로 경제체질을 바꿔나가는 것도 생각해 볼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