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형택시 도입 2년여 만에 슬그머니 사라져… 왜(?)

2015-08-02 16:00

[SBS 화면 캡쳐]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2011년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높이겠다며 전격 도입된 서울시 소형택시가 슬그머니 사라진 것으로 드러났다. 협소한 실내 공간 및 수익성 저하 등 이용객과 업계 불만이 쌓이면서 운행 중단으로 이어진 것이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1년 12월 시는 서울택시운송조합과 관련업체 등에 배기량 1000~1600cc 규모의 소형택시 운행을 허용한다고 알렸다. 앞서 2009년 6월 창동의 I운수가 처음 소형차를 택시 차종으로 등록하고, 2년간 요금유예 기간을 마친 뒤였다.

발송된 공문 상에는 주행거리 2㎞ 이내 기본요금 2100원을 받고, 시간(거리 동시 병산)당 운임은 37초당 100원으로 정했다. 기본 이후의 요금도 155m당 100원으로 중형보다 11m 길었다. 차종은 1600cc 미만 아반떼(현대차), 포르테(기아차) 등이 대표적으로 총 80여 대를 도입했다. 

하지만 소형택시는 2년 뒤 서울시내 도로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당시 중형택시(2400원) 90% 수준인 기본요금의 가격 경쟁력이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심지어 인기를 끌 것이라 기대했던 '나홀로 승객' 마저도 기존 차량과 비교해 좁은 내부 등으로 외면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중형급 대비 30% 가량 연비가 절감된다는 당초 예측도 장기적으로 손님이 뚝 끊기면서 실효성 측면을 따져보면 의미가 적었다. 소형택시비 원가의 상당수(약 60%)를 인건비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운영비는 단순 연비 절감은 별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가 보조금 지원 혜택은 커녕 2013년 10월 중형택시 기본료를 600원 올리면서도 소형의 경우 동결시켜, 해당 업체의 반발이 가중됐다. 이처럼 주요 수요자층과 더불어 운수 종사자들의 시큰둥한 반응으로 도입 1년만에 그 대수는 절반 이하까지 줄었고 2년 뒤 없어지게 됐다.

그러자 일각에서는 소형택시가 실패한 제도란 지적이 나온다. 승객 선택의 폭만을 넓힌다는 취지로 대시민 홍보는 물론이고 통보부터 시행까지 불과 수 개월에 모든 절차를 마쳤다. 다시 말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2013년 하반기 소형택시가 빠르게 중형으로 바뀌었고 계속 퇴출될 것으로 전망해 별도 요금 인상을 논의하지 않았다"며 "차별성이 점차 사라지는 등 대내외적인 문제점을 고려해 중형으로 전환이 고려됐다"고 말했다.